•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식학의 심리구조에서 말나식의 위상과 그 의의 (The Status of Manas and Its Significance in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Yogācāra system)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1 최종저작일 2023.02
36P 미리보기
유식학의 심리구조에서 말나식의 위상과 그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58호 / 203 ~ 238페이지
    · 저자명 : 김재권

    초록

    초기불교와 아비달마불교에서는 18계에서 제시되는 6식의 구조와 심·심소의 관계로서 인식현상과 다양한 심리현상들이 설명된다. 특히 아비달마불교에서는 마음 자체(心, citta)를 나타내는 심·의·식은 작용양상에 따라 명칭상 서로 구분되지만, 본질적으로 표층적인 심리양상을 나타내는 그 심리적인 위상은 별다른 차별이 없다.
    한편 유식사상사에서 심·의·식의 문제는 아비달마불교와 달리 보다 중층적이고 역동적인 8식의 구조로서 새롭게 정립되었다. 특히 인식현상과 다양한 심리현상(心所, caitasika)들은 대승적인 입장을 반영하여, 주로 의식과 심층의식(무의식)의 그 역동적 관계 속에서 인식론적·수행론적 맥락에서 그 사상적 변용의 전개양상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논문은 유식사상사에서 인식의 구조상 18계의 6식의 구조에 비해 보다 중층적·역동적인 인식현상과 심층의식의 긴밀한 그 연쇄적 인과관계를 제시하는 8식의 구조에 주목하여, 특히 제7식 말나식의 위상과 역할을 그 인식론적·수행론적 맥락에서 다각적으로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해심밀경』의 아뢰야식이나 「섭결택분」의 8식 관련기술을 비롯한 『중변분별론』과 『섭대승론』, 그리고 『유식30론』 등의 8식 관련기술들을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유식사상사에서 8식의 성립과정과 8식의 구조에서 말나식이 가지는 역할과 그 의의를 어느 정도 해명한 것이다.

    영어초록

    Early Buddhism and Abhidharma Buddhism explained diverse cognitive and mental phenomena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six consciousnesses, as presented through the framework of eighteen realms (dhātu), and also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mental factors. In particular, Abhidharma Buddhism acknowledged that citta can be distinguished into three different appellations of mind, thought and consciousness according to its operative modes. Abhidharma Buddhism, however, saw these three terms as having no specifically distinct mental statuses, as it regarded them as mental modes occurring on the surface of mind.
    In the history of Yogācāra philosophy, this problem of mind, thought, and consciousness was set forth anew with its introduction of the structure of eight consciousnesses, which is characterized by multilayeredness and dynamicity unseen in the Abhidharma theory of mind. Thereafter, Yogācāra philosophy accepted the Mahāyāna position of cognitive and mental phenomena (caitasika), and presented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deep consciousness (i.e., unconsciousness), as well as its epistemological and soteriological contexts―thereby revealing how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mental phenomena underwent changes in the history of thought.
    In this respect, the present paper pays attention to the Yogācāra structure of eight consciousnesses, which shows the close and consecu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henomena and deep consciousness in a more dynamic and multilayered fashion than the structure of six consciousnesses in the eighteen realms does.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at explicating the status and role of the seventh consciousness called manas has in epistemological and soteriological contexts from multiple perspectives.
    For the purpose of attaining this aim,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descriptions of the ālayavijñāna and eight consciousnesses as appearing in the Saṃdhinirmocana, the “Viniścayasaṃgrahaṇī” section of the Yogācārabhūmi, the Madhyāntavibhāga, the Mahāyānasaṃgraha, the Triṃśikā, etc. This paper thus explicates the process, in which the theory of eight consciousnesses was established, and the role and status manas has in the structure of eight consciousnesses, to a certain extent in the history of Yogācāra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