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지역 장방형 수혈식석곽과 봉분 구축 공법 (A Study on Construction Method of Rectangular-Shaped, or Jangbang style, Stone-Lined Pit Burial Tombs and Grave Mounds in Yeongnam Reg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7.04
33P 미리보기
영남지역 장방형 수혈식석곽과 봉분 구축 공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16권 / 1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홍보식

    초록

    본 논문은 삼국시대 영남지역에 분포한 중심 고분군의 대형 수혈식석곽 중 평면형태가 장방형인 수혈식석곽의 사용 석재 및 구축기술의 공통적 특징, 그리고 단위 고분군의 사용 석재와 석곽 및 봉분 구축 기술의 특징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장방형 수혈식석곽은 뚜껑 또는 뚜껑 및 봉분의 하중압으로부터 석곽 벽체가 앞뒤로 밀려나지 않도록 벽체 뒷부분에 돌과 점토 또는 돌을 뒷채움 하였고, 내면에는 벽체에 밀착하여 목곽을 설치하였다. 목곽은 주검과 부장품을 격납하는 시설임과 동시에 상부 하중압에 의해 벽체가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하였다. 그리고 사용 석재의 종류와 강도 차이에 의해 단위 지역마다 석곽의 구축 위치와 높이, 뚜껑 상면에서 분정부까지의 봉분 높이 등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 지역적 차이는 벽체 및 뚜껑에 사용한 석재가 재하하중에 견디는 강도의 차이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는데, 사용 석재의 특성을 인지하고, 석곽의 안정과 견고 및 고분의 과시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토목공법이 적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삼국시대의 고총고분은 당시 사람들의 경험과 기술, 자연 조건, 획득 가능한 재료, 건축・토목 지식 등이 복합된 구조물임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stone-lined pit burial tombs of the Three Hans Period in Yeongnam region whose horizontal plan forms rectangular shape to examine their building materials, stone chamber and grave mound building techniques. This analyzation process will help us specify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techniques, type of stone materials, building method of stone chambers and grave mounds of rectangular-shaped stone-lined pit burial tombs. The research found out that rectangular-shaped stone-lined pit burial tombs were solidly built by backfilling outside of the walls with trimmed stones and clay and by attaching the woapen coffins closely to the walls. These techniques were applied to avoid collapsing of the walls caused by the heavy weight of the grave mound and cover stones or the loading pressure of grave mounds. Woapen chambers which housed dead bodies and funerary objects have an additional function to prevent the walls from being pushed out by the loading pressure of the grave mounds.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location and the height of stone chambers, and the length of the grave mounds from the cover stones to the top of the mounds vary according to the types and strength of bedrocks located in each unit area. These regional differences in building techniques were mainly derived from the diverse types of stone materials, more specifically, the stone materials’ strength to stand the loading weight of the entire stone walls. On the basis of this acknowledgment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materials, people of the period applied various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to enhance the conspicuousness of the tumulus as well as to improve stability and solidity of stone chambers. This study gave us an opportunity to convert a way of thinking on relationship between human experiences and techniques, natural conditions, attainable materials and natural science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