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시형 ‘식(食)’ 사상의 종교생태학적 의의 (Eco-religious Significance of Choi-Sihyeong’s Thoughts on Eat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2.04
29P 미리보기
최시형 ‘식(食)’ 사상의 종교생태학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종교연구 / 26권 / 26호 / 115 ~ 143페이지
    · 저자명 : 황종원

    초록

    본 논문은 최시형의 ‘식’ 사상이 지닌 종교생태학적 의의를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사상에서는 ‘음식남녀’의 문제가 줄곧 중요하게 생각되지 않거나 흔히 통제, 절제되어야 할 것으로만 여겨진 데 비해, 최시형은 밥 한 그릇이 오르려면 수많은 사람들의 노동과 자연생명의 자기 생명을 내어줌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밥한 그릇에는 무수히 많은 생명이 응결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이로부터 밥을 먹는 행위 자체가 신성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발견한다. 최시형은 생명운동을 하는 주체를 하늘님이라고 믿었으며, 그 하늘님이 전 우주적 차원에서 ‘기화’를 행하여 자연 전체가 먹고 살 수 있다고 여김으로써, 인간이 먹는 것은 모두 하늘님의 기운, 즉 하늘님의 생명이라고 천명했다. 또한 이렇게 하늘님은 인간을 위해 자기 생명을 내어준다는 점에 근거해 동학교도들은 ‘식고’의 의례를 행해야 하고, 자신을 길러준 은혜에 보답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런 ‘먹음’의 문제를 개체 생명의 차원에서 보면 우리는 한 생명이 자기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똑같이 살려고 하는 다른 생명을 먹을 수밖에 없는 역설적 상황에 늘 직면하게 되는데, 최시형은 이를 ‘이천식천’이라 표현하면서 이런 현상은 우주 전체의 공존, 공영을 목적으로 하늘님이 ‘하늘로 하늘을 먹는’ 방법을 취하여 ‘기화’를 행함으로써 만물을 낳고 기르는 것이므로, 한 생명이 다른 생명을 먹는다는 것은 이미 하늘님에 의해 허락된 일임을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기반을 두고 필자는 최시형의 ‘이천식천’설로부터 그의 사상에 다음 두 가지 종교생태학적 의의가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첫째는 천주가 자신의 생명을 기운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만물을 낳고 기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백성, 여성, 자연생명 또한 자신의 생명을 노동력이나 운동하는 기운으로 전환시켜 타인 혹은 타자를 기른다는 점이다. 양자는 모두 자신을 희생하는 존재라는 점에서 정확히 일치한다.
    둘째는 최시형이 ‘경인’, ‘경물’설을 내세운 근거가 먹히는 자연과 자기를 희생하는하늘님 사이의 일치에 있으므로 그의 ‘경인’, ‘경물’의 주된 대상은 줄곧 소홀히 취급되던 백성, 여성, 자연생명을 뜻한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The author mainly discussed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Choi-Sihyeong’s thoughts on eating. In traditional thoughts, eating and sex have not been valued much, which were generally seen as things should be controlled. Differently, Choi-Sihyeong noticed that for a simple meal, many people have to pay hard work and many natural lives have to provide their own lives. In other words, a meal is actually a combination of many people’s hard work and countless lives. As a result, ‘eating’ itself has a very sacred significance.
    Choi-Sihyeong believes in the God, thinks what is the real subject of all life activities, considers that owing to God’s ‘gihwa(氣化,evaporation)’, eating problem in nature can be solved. Further more,he definitely stated that all the food people eat is the God’s ‘gi(氣,energy)’, which is also the God’s life. In this way, God gives his life for mankind, accordingly he suggests Donghak believers do ‘dinner pray’ before a meal to repay God’s nurturing. However,looking ‘eating’ from perspective of individual life, we are bound to face the following contradiction: One life to live has to eat another life that has the same desire for survival. Choi-Sihyeong calls it ‘serve God with God(以天食天)’ and explains that it is the way God nurtures all. In order to achieve coexistence and prosperity of the whole universe, God has taken ‘serve God with God’ approach to carry on ‘gihwa’. So a life eating another is a God-allowed behavior. Through analysing Choi-Sihyeong’s ‘serve God with God’theory, the author found that his thought on eating has two eco-religious significances. Firstly, as God transforms his life to ‘gi’to nurture all things, common people, women and natural lives transform each vitality to labor or exercise power to raise other people or something else. Both the God and the latter three are self-sacrifice beings. Secondly, Choi-Sihyeong’s ‘respect for all people and all things’ theory is based on the consistency of the self-sacrifice God and the natural lives to be eaten. That is why his objects to respect are mainly common people, women and natural lives that have been ignored all through the ye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종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