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말기 소설 유형의 탈식민성 연구 (A post-colonalism study of late Japanese colonial novel's typ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0.10
31P 미리보기
일제 말기 소설 유형의 탈식민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31호 / 531 ~ 561페이지
    · 저자명 : 장성규

    초록

    일제 말기 전대의 문학적 지향이 사라진 시기, 작가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문학적 지향을 모색한다. 이는 특히 한국 근대 문학을 형성한 세 가지 경로, 즉 조선 고전 서사의 전통, 일본 자연주의 문학, 서구의 노벨 양식에 대한 정치한 재인식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당대 일련의 동양 담론의 확산 속에서 조선의 고전 서사 양식인 역사서술을 차용하여 리얼리티와 픽션의 이중적 구성을 내포하는 역사소설 유형이 대두하며, 일본 자연주의 문학의 사소설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자아’를 둘러싼 현실과 길항하는 우회적 글쓰기 전략으로서의 ‘사소설’ 유형이 대두한다. 그리고 서구 노벨 양식 중 조선의 특수한 근대성을 해명하기 위한 소설 유형으로 가족사 연대기 소설 유형이 대두한다.
    이러한 소설 유형은 전대에도 존재했으나, 이 시기 유독 강력한 문학적 흐름을 형성한다. 이들 소설 유형은 그 원천을 단순히 모방, 반복한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른 문제설정 속에서 일제 말기 작가 의식을 표출하는 양식으로 기능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역사소설은 당대 민족주의와 체제협력 사이에서 균열된 정체성을 표출하며, 조선적 ‘사소설’은 신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문학적 전략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가족사 연대기 소설은 당시 ‘근대의 초극’ 담론에 포획되지 않는 조선적 특수성을 해명하기 위한 작가들의 문제설정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일제 말기 새롭게 대두하는 소설 유형들은 각기 그 원천에 대한 다양한 탈식민적 전략을 통해 당대 작가의식을 모색하기 위한 글쓰기 양식으로 기능했다. 그리고 이는 소설의 내용과 형식의 이분법적 구도로 포착되지 않는 일제 말기 작가의식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징후로 재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end of Japan's colonial period, when the literary investigation of the past disappeared, writers pursued new literary searches in different kinds of ways. They wanted to create the novels in a new pattern. For this, they need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three constituents: Joseon's traditional narrative, Japan's Naturalism literature, and European novel patterns, which are said to stimulate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novel. In the conclusion of writers' investigation, a historical novel pattern, an autobiographical novel pattern, and a family's chronicle novel pattern appeared. Firstly, the historical novel pattern implied a dual constitution of both the reality and the fiction. It borrowed Joseon's traditional historical narrative in the spread of a series of 'Orient' discourses. Secondly, the autobiographical novel pattern was a kind of roundabout writing strategy which connote the ego's competition with the real world. It resulted from the reperception of Japan's autobiographical novels, which was under the influence of Naturalism. Thirdly, the family's chronicle novel pattern was to elucidate Joseon's particular modernity borrowing the western novel pattern.
    Of course, these three novel patterns existed in the former period. But it is important that these became, in this period, the main and powerful stream of the literature on a sudden. We ne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se novel patterns in the literature history, because they are the consequences of each writer's competitons with the real world. Writers neither imitated nor repeated these three novel patterns. They tried to change the patterns in their own ways to show their critical mind. In brief, the historical novel showed the broken identity between the Nationalism and the Japanophilism, the autobiographical novel was used as an literary strategy competing the fascism in those days, and the family's chronicle novel showed writer's struggles to explain Joseon's extraordinary modernity in the different ways from the 'overcome of the modern' discourse.
    New novel patterns like these, which were decolonial changes of the fountainheads, re-appearing in the end of Japan's colonial period functioned as a writing strategy in which writers showed their own critical mind. We can revaluate these new novel patterns as important symptoms to elucidate the writers' critical minds in the end of Japan's colonial period. It is because the critical minds of writers in those days are not captured in dichotomous eyes of form and m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