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구들식 기와가마’에 대한 小考 (A Study on Gudeul-style tile kilns of Kore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12
37P 미리보기
한국의 ‘구들식 기와가마’에 대한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50호 / 139 ~ 175페이지
    · 저자명 : 김하나

    초록

    1971년 청양 왕진리 가마의 조사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된 구들식 기와가마는 현재까지 국내 7개의 유적에서 9기가 발굴조사되었다.
    구들식 기와가마의 구조는 연도부(실), 소성부(실), 연소부(실) 등을 갖춘 일반 기와가마와 동일하지만, ‘소성실 가마 바닥에 생토를 굴착하거나 점토 등을 이용해 고래를 설치하였다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삼국시대(6세기 중반)부터 고려시대(11세기)까지 조성된 구들식 기와가마는 연소부와 소성실 사이에 단벽이 설치되어 있고, 시기에 따라 ‘지하식 평요→반지하식 평요→반지하식 등요→지하식 등요’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소성실 내부에 설치된 구들은 기둥(분염주)을 설치한 허튼고래식에서 줄고래식으로 변화하며, 고래는 처음에 기반층을 굴착하여 조성하다가 점차 진흙둑, 진흙둑+기와편·석재 혼입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중국 西周 시대에 등장한 ‘半倒焰馬蹄窯’와 일본 나라시대때 등장한 ‘有床式(Roster式)가마’는 고래를 설치한 소성실의 구조에 있어 한국의 구들식 가마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의 유적 소개와 더불어 가마의 구조 및 속성을 살펴보고, 中·日의 사례와 비교하여 그 특징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를 토대로 한중일 간의 製瓦 기술교류 연구에 기초적인 연구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o date, a total of nineGudeul-style tile kilns, the first of which were identified during a field study of kilns in Wangjin-ri, Cheongyang in 1971, have been excavated in seven domestic sites.
    The structure of the flue, chamber room, and fire box in Gudeul tile kilns is identical to common tile kilns, with the only structural difference observed as “Gorae [were] installed by digging out raw soil or by using clay on the floor of the chamber room.” Gudeul tile kilns, built from the tim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mid-6th century) until the Goryeo period (11th century), feature a fire sill between the fire box and the chamber room. The structure of the kilns have changed in appearance over several periods: below-ground horizontal plain kiln à half below ground plain kiln à half below ground tunnel kiln à below-ground tunnel kiln. The columns (called bunyeomju, a smoke-dispersing column) in Gudeul, located inside the chamber room, changed from scattered-column Gorae to a comb-shaped Gorae. Gorae were first created by digging out the base layer, which gradually led to use of mixed forms such as soil banks, soil banks and roof tile pieces, or stones.
    The Half-Downdraft Horse-Hoof kilns that emerged in the West Zhou period and the Roster kilns that emerged in the Nara period are similar to Gudeul kilns of Korea in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chamber room equipped with Gorae.
    This article is aimed at find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uins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kilns found in these ruins, and by comparing them to the kilns in China and Japan. Furthermore, this article provides fundamental research resources for exchanging tile-making techniques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