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橫穴式 墓制의 淵源과 展開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9.06
26P 미리보기
橫穴式 墓制의 淵源과 展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30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이남석

    초록

    본고는 한반도 고대사회의 주묘제로 활용되었던 횡혈식(橫穴式)의 연원을 살피고자 마련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횡혈식은 어떤 묘제이고, 동아시아에서 이 묘제의 발생이 어디에서 언제 시작되며, 나아가 한반도에 시공간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삼국의 묘제로 채택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횡혈식 묘제는 장제적으로 이전의 단장묘(單葬墓) 대신에 합장(合葬) 혹은 다장(多葬)이 전제된 묘제로, 출입시설이 마련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꼽는다. 이 묘제는 묘, 장제적으로 선행묘제인 수혈식(竪穴式) 묘제와 큰 차이가 있으며, 나아가 선행묘제의 진화보다는 3세기 혹은 4세기 대에 고구려와 백제, 그리고 5세기말 혹은 6세기 무렵에 신라와 가야지역에 시간차를 두고 새롭게 등장한 묘제이다. 대체로 낙랑 대방지역을 필두로 4세기 이후로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된 묘제이다
    중국의 전한(前漢) 중기에 부부합장(夫婦合葬)이란 장제의 변화에 부응하여 발생된 이 묘제는 처음에 목제 관곽(棺槨)의 사용이 기본이었으나 점차 전실분(塼室墳)으로 변화되고, 나아가 생전의 주거형상을 모방한 다실묘(多室墓)까지 발전된다. 이에 한반도 횡혈식 묘제는 중원(中原)의 횡혈식 묘제가 낙랑과 대방을 통해 유입되고 그것이 석실분(石室墳)으로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다만 고구려의 경우는 봉토석실분(封土石室墳)에서 그 시원을 구할 수 있지만, 적석총(積石塚)에 횡혈식 구조의 등장은 만주지역과 관련된 것인지, 봉토석실분의 확산에 의한 것인지의 판단은 유보된다. 반면에 백제는 서북한(西北韓) 지역에서 파급된 것이 비교적 선명하게 드러난다. 나아가 신라ㆍ가야는 고구려 혹은 백제에서의 2차 파급으로 늦게 횡혈식 묘제가 유입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that made the dominant type of tomb in the ancient society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examined what type of tomb it was, when and where it was born in East Asia, how it developed both in time and spac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how it's selected by the Three Kingdoms.
    Based on the premise of twin or multiple burials instead of single burial,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are best characterized by an entrance. They widely differ from their predecessor, which was a tomb in a vertical digging style. They were not the result of the predecessor's evolution but newly appeared in Goguryeo and Baekje in the 3rd or 4th century and Shilla and Gaya in the late 5th or 6th century. They became wide spread across the peninsula starting in Nakrang and Daebang around the 4th century.
    Created to respond to the conjugal burial in the middle of Former Han in China,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basically had a wooden chamber in the early days but gradually moved towards a brick chamber, ultimately holding multiple chambers that mimicked the living spaces of the deceased. Thus it can be said that they were introduced from the midlands through Nakrang and Daebang and developed into stone-chamber tombs in the peninsula. In Goguryeo, their beginning can be traced back to a grave mound with a stone chamber. However, it's not for certain if the introduction of a tunnel entrance into a stone mound was related to Manchuria or was affected by the expansion of a grave mound with a stone chamber. In Baekje, it's relatively clear that they were introduced from the Seobukhan area. And it's confirmed that Shilla and Gaya were late to introduce a tomb with a tunnel entrance from Goguryeo and Baekj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