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식불교와 듀이의 의식이론 비교 고찰: -식전변(識轉變)과 의식 회로의 조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between Buddhism and Dewey on the Theory of Consciousness -Focused on the Consciousness Transformation and the Co-ordination of Consciousness Circuit-)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9.02
24P 미리보기
유식불교와 듀이의 의식이론 비교 고찰: -식전변(識轉變)과 의식 회로의 조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43호 / 159 ~ 182페이지
    · 저자명 : 김무길

    초록

    유식불교와 듀이철학은 삶의 가치와 목적, 그리고 종교적 측면에서 상이점을 드러냄에도 불구하고, 그 인식론의 심층을 파고 들어가면 상호 유사한 관계론적 의식을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어 유식불교와 듀이의 의식이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먼저 의식의 개념은 각각 ‘연기성’과 ‘열린회로’로 설명되며, 이는 S-R 식의 이분법적 의식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유사점이 있다. 또한 의식의 구성은 아뢰야식과 현행, 기존의 마음 경향과 새로운 자극이 순환적 관계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또한 언어의 의미는 각각 ‘아포아’(apoha)론과 ‘교호작용’을 통해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탈맥락적 언어관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상호 유사점을 보인다. 다만, 유식불교에서 열반의 지혜라는 궁극적 목적을 설정한 것과 달리, 듀이는 경험의 계속적인 재구성 자체가 유의미한 경험이 된다고 보는 점에서 차이점을 드러낸다. 양자의 의식이론에 비추어볼 때, 교육자는 고정된 의미 체계의 전달만을 앞세운다거나 소극적인 보조 역할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며, 학습자 스스로 지적 조정을 하여 자아를 확대해갈 수 있도록 다양한 언어적 자극과 탐구적 경험의 장을 마련해주는 일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uddhism’s theory of consciousness with John Dewey’s theory of consciousness, and to search its implications for modern education. In spite of the differences of the aim of life and the religious viewpoint, Buddhism and Dewey commonly show that our consciousness is not fixed, but is being changed continuously because of the co-relationship of subject and object. This co-relationship is called ‘interdependent arising’(緣起) in Buddhism, ‘transaction’ in Dewey’s philosophy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Buddhism and Dewey’s concept of consciousness show co-similarity in that the two do not permit the viewpoint of behaviorism separating the subject from the object. Secondly, the two’s theory of the construction of consciousness show co-similarity in that storehouse consciousness(阿賴耶識) and appearance(現行), response tendency of mind and the new stimulus, show the circular co-relationship respectively. Thirdly, Buddhism’s theory of ‘apoha’ and Dewey’s viewpoint of language show co-similarity in that the two do not permit the fixed, post-contextual viewpoint of language. In relation to this similarities of the two’s theory of consciousness, the teacher needs to be attentive to the student’s whole flow of consciousness, an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environment of spontaneous thinking and inqui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