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생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연관교과 내 식생활교육의 효과판정 -식습관 변화를 중심으로- (Effect-evaluation on nutrition education in related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ed on change of dietary habits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5.12
10P 미리보기
초등학생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연관교과 내 식생활교육의 효과판정 -식습관 변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0권 / 6호 / 795 ~ 804페이지
    · 저자명 : 허은실, 이경혜, 박혜진, 이상균

    초록

    본 연구는 2004년 3월 2일부터 12월 20일까지 경남 진해시 소재 동부초등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담임교사에 의한 12차시의 연관교과 내 식생활교육 활동을 통해 식습관교정을 시도하고 학생들 스스로 올바른 식생활을 영위하게할 수 있는 태도 및 행동을 기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1) 식생활교육을 위한 영역별 지도 내용 선정, 2) 학년별 식생활교육 관련 내용 분석, 3)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지도 계획 수립, 4) 식생활교육 지도자료 개발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육 전 저체중군의 40.0%, 정상군의22.8%, 비만군의 42.2%가 자신의 체형을 잘못인식하고있었으나 교육 후 조사결과에서는 저체중군의 80.5%, 정상군의 94.3%, 비만군의 97.9%가 자신의 체형을 바르게인식하고 있었다(p < 0.001). 교육의 결과로 일주일에 3회이상 운동하는 비율이 각 군에서 모두 높아졌고(p < 0.01~ 0.001), 특히 비만군에서 그 효과가 두드러짐을 보였다. 식사의 규칙성에 있어 세 군 모두에서 교육 후 규칙적으로 섭취한다는 학생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 < 0.001).
    교육에 따라 모든 군에서 결식비율이 줄어들었고, 특히 비만군에서의 감소비율이 가장 높았다(p < 0.001). 교육 전에는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빠른 식사시간을 가진 학생이 더많았으나 교육 후 모든 군에서 그 비율이 감소하였고, 특히정상군보다는 저체중군과 비만군에서 더 큰 감소효과를 보였다. 편식은 비만도가 감소할수록 편식비율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는데, 교육 후에는 저체중군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p < 0.001). 간식방법으로는 비만도에 상관없이 교육 후‘어머니가 사서 주신다’의 비율이 감소하는 반면‘어머니가 만들어 주신다’의 비율이 증가하였다(p < 0.05~0.001). 간식식품으로는 교육 전에 비해‘과자류’에 대한 비율은 감소한 반면‘과일 및 쥬스류’ 대한 비율이 증가함으로 보였다(p < 0.01~p < 0.001).
    본 연구결과는 영양교사화가 법적으로 실시된다고 하더라도 인력, 시간부족으로 적극적인 영양교육이 힘든 현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의 식생활 교육에 대한 책임을 모두 영양교사가 짊어지기 보다는 담임교사를 통한 연관교과 내식생활 관련 교육을 적극 활용한다면 초등학생들의 올바른식습관 형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f nutritional education activities and effect evaluation in related curriculums for all Dongbu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Jinhae by the teacher in charge. This educational purpose was to build a desirable dietary behavior for optimal growth and health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educational program conten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1) selection of content related curriculums 2)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on dietary habits by grade 3) preparation teaching plans to build desirable dietary habits 4) development of teaching manual by turns. Twelve hours of nutrition education at all school classes were done from March 2 to December 10 2004 in Dongbu Elementary School in Jinhae, Gyeongnam. The education effects were evalua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nd their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orty percent of the underweight group, 22.8% of the normal group, 42.2% of the obese group had the wrong perceptions on their body figures, but after nutrition education 80.5% of the underweight group, 94.3% of the normal group, 97.9% of the obese group gleaned the correct perceptions on their body figures (p < 0.001). As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the subjects who exercise more than 3 times in a week increased in all groups (p < 0.01 - 0.001), notably in the obese group. Meal regularity (p < 0.001), skipping meals (p < 0.001), eating rate and snack selection patterns (p < 0.01 - p < 0.001) also improved by nutrition education. We could also observe the effec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through the affirmative statements which appeared in their dietary records. These results showed a possibility of nutrition education activities in related curriculums to improve in dietary habits of school children. Next year, we will start with the system of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but nutrition teacher cannot undertake the task of teaching and food service management alone. Because of that, we intend to develop this program as an alternative proposal for the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795 ~ 804, 200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