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시 폐교 시설의 활용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uses for closed school facilities in Seoul)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10
14P 미리보기
서울시 폐교 시설의 활용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7호 / 663 ~ 676페이지
    · 저자명 : 박수민, 김용성, 이남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학교는 학령인구 감소로 존립의 위기를 겪고 있다. 학교는 교육을 위한 공간을 넘어 물리적으로 도시거점의 역할과 더불어 지역의 역사와 지역민들의 추억을 담는 사회적 가치는 지닌다. 그러나 현시점의 대한민국은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 구조 변화와 더불어 과거 산업화, 정보화 시대를 거쳐 급격한 도시화를 맞이하여 서울로 집중되는 인구를 감당하기 위해 지어졌던 학교 시설들은 차례로 문을 닫거나 유휴부지로 남겨진 현황이다. 인구 감소로 인해 폐교가 되는 사례는 지방에서는 이미 흔한 일이지만 이제는 서울에서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배경에 따라 한국과 인접한 국가 중 가장 비슷한 교육 시스템과 사회구조를 가지고 있는 일본을 우리나라 폐교 시설 발생과 활용의 예측모델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서울시의 폐교 시설 현황을 파악하여, 어떠한 방안으로 활용되는지 그에 따른 유형을 조사한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교육 관련 기관의 공식적인 자료들을 이용하며, 폐교의 대상이 되고 있는 학교의 효율적 활용 방안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서울시에 발생한 폐교 시설이 사회적 공간으로 타당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평가하고 학교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재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울시뿐만 아니라 다른 대도시에서도 유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된다. (결과) 두 대도시의 폐교 재산 활용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이는 정책적 접근과 지역사회 요구뿐만 아니라 건축적 관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도쿄도는 폐교 시설을 문화공간, 지역 커뮤니티, 창업 공간 등으로 전환하여 기존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새로운 기능을 부여해 공간의 다목적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서울시는 주로 교육용 시설로 제한적인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건축적 재해석이나 기능 확장은 부족하다. 이로 인해 공간 활용도가 낮게 평가된다. 특히, 서울시는 복합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폐교 시설을 재활용할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도쿄도의 사례는 서울시가 건축적 가치를 보존하며 폐교 시설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해 장기적인 도시 재생과 지역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서울시의 폐교 시설 활용 실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도쿄도의 사례와 비교하여 서울시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지방의 폐교 시설에 집중한 반면, 본 연구는 도시 내 폐교 시설을 다룬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폐교가 증가하는 현상은 새롭게 부각되는 문제로, 이를 다룬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시적 맥락에서 폐교 활용 방안을 분석하고, 서울시의 도시계획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대도시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할 폐교 문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효율적인 활용 모델을 제안하는 데 의미가 있으며, 이는 도시계획과 지역사회 활성화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울시는 장기적인 도시 발전을 도모하고,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중요한 실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폐교 시설의 효율적 활용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Schools in South Korea are currently facing a significant crisis due to the declining student population. Beyond serving as educational spaces, these institutions also play a critical role as key urban hubs, preserving local history and community memory. However, the combined effects of low birth rates, an aging population, and rapid urbanization have caused many schools in Seoul to either close or go unused. School closures have become unavoidable not only in rural areas but also in urban centers such as Seoul. To address this issue effectively, this study selected Japan, which has a similar educational system and social structure, as a model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future school closures and exploring effective utilization methods for these underused facilities.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closed school facilities in Seoul and examined how they are currently being utilized. Official data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and Japan were used for a comprehensive comparative analysis. In addition,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for repurposing closed schools. This study further evaluated whether these facilities are being utilized appropriately as social and cultural spaces, and explored potential ways to reactivate their role and function as schools, contributing more directly to community growth and urban development.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Seoul and Tokyo regarding the repurposing of closed schools. Tokyo has transformed its schools into multifunctional spaces such as cultural hubs, community centers, and entrepreneurial spaces, preserving their original architectural features while adding new functions for long-term sustainability. In contrast, Seoul's approach is more limited, focusing primarily on educational uses with less emphasis on architectural reinterpretation or functional expansion, resulting in lower overall space utilization. Tokyo’s approach offers a valuable model for Seoul to use closed schools for urban regener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Conclusions) This study offers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facilities in Seoul, drawing meaningful insights from Tokyo’s approach to inform strategies applicable to the Seoul context. While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mainly on rural school closures, this study addresses the growing issue of urban closures in large cities such as Seoul.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actively responding to this issue and suggests effective policy alternatives that align with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and the social needs of the community. Furthermore, continued research on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se facilities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sustainable urban planning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