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荇의 유배시에 나타난 정서 양상 (A Study on the Emotions Shown in Lee Haeng’s Exilic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1.02
23P 미리보기
李荇의 유배시에 나타난 정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50권 / 50호 / 193 ~ 215페이지
    · 저자명 : 김은지

    초록

    본 연구는 李荇이 충주, 함안, 거제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며 지은 유배시에나타나는 시적 정서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선전기의 중앙집권체제는 중기로 접어들면서 서서히 붕괴되었고, 사대사화가 일어나면서 혼란은 더욱 심해졌다. 이로 인하여 관직에 나아간 이들은뜻을 펴기도 했고, 정치적으로 뜻을 잃어 유배를 당하기도 했다. 유배는 죄를범한 자를 죽이지 않고 멀리 유배지로 보내어 終身토록 돌아오지 못하게 하는 형벌인데, 이런 극적인 체험은 유배를 당한 인물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게된다. 여기서 유배생활은 정치적 삶과 전원생활로 대표되던 당시의 삶에 빠질수 없는 또 다른 삶의 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삶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는 李荇의 유배시를 대상으로 시에 나타난 정서와 정서의 변화양상을살피겠다.
    李荇은 연산 10년(1504)에 일어난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 길에 올라 3여 년 동안 충주와 함안을 거쳐 거제도로 유배지를 옮겨 배소되었다. 유배지를 옮길 때마다 충주에서는 ≪謫居錄≫, 함안에서는 ≪南遷錄≫, 거제도에서는 ≪海島錄≫을 제목으로 詩稿로 남겼다. 유배시에 나타나는 정서의 유형을분류하기 위하여 기준으로 삼은 것은 현실을 바라보는 시적화자의 태도이다.
    유배 상황에 대한 李荇의 시적 발화 과정을 현실에 대한 갈등 표출(외현화/내면화)이라고 보고, 각기 다른 상황에서 쓰인 시를 살피기 위하여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행의 유배시는 분류한 기준에 따라 정서 층위를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정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배자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 현실을 이야기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시에서 현실에서의 갈등을 어떻게 나타내느냐로 정서의 양상을 살필 수 있으며, 현실과의 갈등 또는 내적 갈등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謫居錄≫의 초창기에 나타나는 좌절과 절망하는自嘆의 정서는 ≪南遷錄≫에서는 스스로를 위안하는 自慰의 정서로 나타남으로써 긍정적 정서로 나아가려한다. 이러한 현상은 ≪海島錄≫에서의 유배온 여러 인물들과 교유를 통하여 그가 느낀 좌절과 고독감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오히려 스스로를 되돌아 볼 기회를 찾은 듯 보인다. 그리하여 自照의정서로 가닥을 잡았다. 이행은 자신의 내면에 관심을 가지고, 혼란한 현실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태도를 형성해 갔던 것이다. 현실의 불만을 적극적으로 내면화한다는 것은 시적화자가 갈등을 조화롭게 해결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시적화자이자 작가가 현실에서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행의 시세계와 문학이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는 데도움이 되리라 믿고 여기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poetic emotion shown in the poem made by Lee Haeng while exiling in Chungju, Haman province and Geoje Island.
    The centralism of early Chosun period slowly collapsed during the middle age and the society was in chaotic situation with the four events of massacre of scholars. Hence, the some people who entered the government service accomplished their will or some were exiled by losing the political power. The exile is a sort of punishment which criminals were sentenced for rest of their lives instead of the death sentence, then these extreme experiences influence the exiles. The exilic life is the other aspect which cannot be missed for the politicians of those times with the political and rural life. Let’s look at the poetic emotion and emotional changes shown in the poems by Lee Haeng during the exile.
    Lee Haeng’s exile was assigned to Chungju at first for 3 years then to Geoje Island through Haman province by involving in the Gapja massacre of scholars. As he moved the place of exile, he left manuscripts of poems with the tile of Jeokgeorok(≪謫居錄≫) in Chungju province,Namcheonrok(≪南遷錄≫) in Haman province and Haedorok(≪海島錄≫) in Geoje Island. The criterion of classifying the types of emotions in exilic poetry is the attitude of poetic mind toward the reality.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reality is changed depending on the exilic situation. The types of emotions can be described as the way how to express the conflicts against the reality and we can see how to solve the problem against the reality or internal conflict. The frustrated and the desperate emotion of self lamentation shown at the beginning of Jeokgeorok(≪謫居錄≫) changed into the positive emotion as comforting himself in Namcheonrok(≪南遷錄≫). This transformation seemed to somewhat solve the desperation and solitude through the friendship with the other exiles and rather to have the opportunity to look back himself in Haedorok(≪海島錄≫).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poem attained the emotion of self enlightenment. Lee Haeng internally looked over himself and established the attitude of making more objective observation of his nature in the chaotic reality. The active internalization of dissatisfaction toward the reality shows poet himself solving the conflicts harmonically. This can be known as the process in which the writer or poet solves the problems of real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