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상국 시에 내재된 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Ecologism in Lee Sang-guk'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2.08
45P 미리보기
이상국 시에 내재된 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61호 / 95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동명

    초록

    이 논문에서는 이상국의 시를 대상으로 사회생태주의와 심층생태주의로 논의했다. 먼저 사회생태주의의 양상을 보이는 작품에서는 인간과 인간 간에 새로운 관계 정립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에서 야기되는 인간의 물질화를 상기시켜주고, 이러한 삶의 방식이 결국 자연생태계의 파괴로 전이된다고 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구생태계 내 각 개인은 지배와 종속의 관계에서 벗어나 모두가 평등한 관계를 지향해야 한다는 주제가 암시된다. 각 개인이 위계 구조의 틀에서 벗어난 삶을 지향할 때, 지구생태계 내 모든 개체의 자아실현과 함께 지구생태계의 생명 발현 또한 순조로워진다는 것이다.
    심층생태주의적 양상의 작품에서는 인간과 자연이 우주적 생명 공동체로서 서로 관련된 존재라는 것, 그리하여 인간과 동물․식물이 서로 얽혀 순환하는 가운데 생성하고 소멸하고, 죽고 부활한다는 주제가 논의되었다. 이러한 가치관을 통해 파악되는 심층생태주의의 시는 각 개인으로 하여금 지구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 추구해야 할 삶의 태도를 제시한다. 인간은 자연이라는 원리를 받아들여야 하며 자연 중심적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국 시 전체를 거쳐 도출되는 이러한 두 가지 주제, 즉 심층생태주의와 사회생태주의적 사유를 드러내는 작품들은 지구생태계 내 인간과 자연이 어울려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향을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그 지향하는 바가 서로 일치하고 맞물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구생태계 전체는 유기체적이며 전일적인 관계이므로 그 관계의 대상인 모든 인간과 자연은 개별적 존재로서 존중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deep and social ecologism on Lee Sang-guk's poems. His poems about social ecologism show a need for new relationships among human beings, reminding the readers of the objectification of man caused by the ruling-the ruled relationships and presenting a topic that all humans are equal beings and should live together after all. All should pursue a direction toward free beings, escaping from the obedience-subordination relationships. The poet emphasizes that moral economy should be realized for their specific realization. The economic polarization creates class polarization, which worsens inequality and anxiety in individual beings.
    Another topic represented in His poems about deep ecologism is that all the destructions of communities and environments are attributed to the wrong attitude humans have toward nature. Humans see nature as a mere tool from the human-centric perspective. Thus while science and civilization keep evolving, the ecosystem gets destroyed and the cosmic life community will come to an end. Thus a new topic is proposed that humans should change their fundamental attitude toward nature and accept themselves as part of nature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His works to represent the two topics, namely deep and social ecologism, argue that the cause of ecosystem destruction derives from the human-centric perspective in man-nature relationships and man-man relationships. Thus those works of the two topics are in the same vein in that the hierarchical structure is the cause. In the end, the common direction should be the entire ecosystem that is organic and whole, which means all men and nature, the objects of those relationships, should be respected as individual be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