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용철 시론의 내적 장치와 시적 거리 (A Study on Internal device and Poetic distance of Park Yong-cheol’s Poetic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09
22P 미리보기
박용철 시론의 내적 장치와 시적 거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53호 / 241 ~ 262페이지
    · 저자명 : 이임규

    초록

    박용철은 ‘창작자의 심태’가 아니라 ‘감상자의 심태’에서 시작(詩作)을 강구했던 시인이었다. 그리하여 당시 형식이나 형상에 치우쳐 독자들을 오히려 잃어버리는 문단에 대한 묵언의 시위를 지속했던 작가였다. 1920년대 모더니스트의 실험시에서 느끼는 암울과 절망을 그가 몰랐을 리 없다. 그것은 그의 시론이 이미 확고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었음에서도 확인된다. 더욱이 시적 형상화에 앞서 김영랑에게 ‘기탄없는 비평’을 청했다는 사실에서도 그가 아무런 의식 없이 시작(詩作)에 착수했으리라고는 여겨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게서 시론 입론과 시적 형상화의 거리 두기가 끊임없이 붙여 달이는 것은 김영랑과 정지용의 시적 경향을 비켜서면서 그의 시론에도 부합되고 시대적 상황적 핍박을 벗어나는 정신적 장치로서 서구적 기법을 활용하는 시적 형상화에 몰두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민중의 입장에서 시를 쓰고자 했고, 그것이 비록 저평가를 받더라도 가슴으로 읽히고 느끼고 눈물을 자아낼 수 있는 그런 시작(詩作)에 천착하였던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야 누구라도 알 수 있는 시론 입론과 시적 형상화에 분명한 차이를 드러낼 리는 없기 때문이다.
    그것이 우리가 박용철에게 관심을 기우리고 그의 시에 대해 남다른 의미를 부여해야할 이유라면 이유이겠다. 그렇기 때문에 박용철의 시와 시론에 대한 담론의 여지는 충분히 남아 있다 하겠다.

    영어초록

    Park Yong-cheol was a poet who considered writing poem in not poet's mind but appreciator’s. Also he was a poet who kept demonstrating against literary world by silence, because they lose appreciators by sticking to form of poem. There is no way he didn’t know about gloom and despair in 1920’s modernist’s experimental poetry. That can be confirmed that his poetics occupied unwavering position already. Besides he was not considered he started writing poem without any doubt, because he asked candid criticism before poetic embodiment to Kim Young-rang.
    Nevertheless, the reason keeping distance between poetics argument and poetic embodiment always tag along behind him is he was absorbed in poetic embodiment by stepping aside from Kim Young-rang and Jung Ji-yong’s poetic tendency, that is using Western technique as a mental equipment for get out of the persecution like situation of age, and also it fits his poetics.
    He was trying to write poem in the public’s position. Although if it takes under-estimate, he dug into writing poem which can be read by heart, can feel by heart and can draw tears. Or else there is no way he reveal evidence difference between poetics argument and poetic embodiment that anyone can know.
    That’ why we have to pay attention to Park Yong-cheol and give meaning to his poetry. So there is enough reason for discussion about Park Yong-cheol’s poem and po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