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태일의 민중시론과 민중시의 남성성 (The concept of people ’ s poetry and its masculinity of Cho Tae-il)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8.05
36P 미리보기
조태일의 민중시론과 민중시의 남성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61호 / 135 ~ 170페이지
    · 저자명 : 임지연

    초록

    1970년대 초반 조태일은 신경림, 김지하, 최민, 김준태와 함께 민중시계열을 형성하면서 초기 민중시를 주도해갔다. 이 시기 그의 개성은 선이 굵고 씩씩한 남성적인 시인으로 평가받았다. 문학사에서 조태일의 남성성은 무의식적으로 인정되었지만, 그것의 의미와 특징이 어떤 것인지 회피되어 왔다. 이 논문은 1960-70년대 초반에 이르는 조태일의 민중시 개념과 민중시의 남성성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조태일의 민중시는 당대 민중시계열과 함께 시론을 형성하였는데, 특히 민중적 삶을 자각한다는 방법론과 민중은 역사발전의 주체라는 이념을 공유하였다. 그는 민중을 역사발전의 원동력이라는 관점을 분명히 하면서 민중에 대한 신념을 확고히 하였다. 그것은 양질의 민중인식과 진짜 문학이라는 강박 속에서 형성되었다.
    조태일의 민중시에 나타난 남성성은 첫째, 남성-폭력의 역설과 윤리적 감정 주체의 특징을 갖는다. 조태일은 헤게모니적 남성권력인 박정희체제에 대해 저항하는 ‘새로운 남성성’을 제시한다. 하지만 저항적 남성성이 갖는 폭력성은 남성일반의 폭력성을 공유한다. 특히 분노의 감정을 남성화할 때 저항의 윤리가치는 남성이 특권으로 전환된다. 이는 여성을 배제하는 재위계화의 역설과 마주하게 된다. 둘째, 강간의 수사와 ‘처녀막’을 단 남성 주체의 특징을 갖는다. 조태일의 강간의 수사는 수난 받는 국토(민중)를 표현하기 위한 저항적 방법이다. 그럼에도 남성지배를 목적으로 하는 강간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여성을 타자화 한다. 민중의 개념에 여성이 부재함으로써 그가 추구한 이상적 민중은 스스로를 위반하는 역설에 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조태일의 남성적 목소리가 저항의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그가 싸우고자 했던 헤게모니 남성권력과 일정부분 공모하고 기대는 지점이 있음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1970s, along with Shin Kyung-lim, Kim Ji-ha, Choi Min and Kim Jun-tae, Cho Tae-il led the early people’s poetry by forming a group of people’s poet. During this period, his personality was evaluated as a bold and strong masculine poet.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his masculinity has been unconsciously recognized, but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have been avoided. This paper explores how Cho Tae-il’s concept of people’s poetry and the masculinity of people’s poetry constructed in the early 1960s and early 1970s.
    The people’s poetry of Cho Tae-il formed a poetic discussion together with the contemporary people’s poet group. In particular, they shared the methodology of awareness of the people’s life and the idea that the people are the subjects of historical development. He clarified the view that the people are the driving force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secured the belief in the people. It was formed in the obsession of recognition of good quality people and genuine literature.
    First, t he m asculinity i n the p eop le’s p oetry of C ho T ae-il has the characteristics of male-violent paradox and ethical emotional subject. Cho Tae-il presents a ‘new masculinity’ that resists the hegemonic male power, the Park Jung-hee regime. However, the violence of resistance masculinity shares the violence of the male general. Especially when masculinizing the feelings of anger, the ethical value of resistance is converted to privilege by man. This confronts the paradox of re-hierarchy that excludes women.
    Seco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rhetoric of rape and the male subject with a ‘hymen’. His rape rhetoric is a resistive way to express the suffering country (people). Nevertheless, women should have become the other in the sense that it assumes rape for male domination. In the absence of women in the concept of people, the ideal people pursued by him is in a paradox of violating himself.
    Through this, this article intends to critically read that Cho Tae-il’s male voice is positive in terms of resistance, but that he has a side to conspire with and depend on the hegemonic male power he tried to fight again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