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代 鞦韆關聯 詩 분석을 통한 鞦韆硏究 (A Swing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poetry of Goryeo Dynasty)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8.12
17P 미리보기
高麗代 鞦韆關聯 詩 분석을 통한 鞦韆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북아 문화연구 / 1권 / 57호 / 39 ~ 55페이지
    · 저자명 : 권민수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origin of swinging of the Koryo Dynasty, I have searched the subject of transmission, meaning analysis and space-time of swinging through swinging appeared in the poems of Lee Gyu-bo's ‘Dano Gyun Chucheon Yeohee (端午見鞦韆女戱)’, ‘Hansikil Daeinbulinji’, classical scholars' ‘Hallimbyeolgok (翰林別曲) Chapter 8’, Lee Saek's ‘Swinging’ ‘Dano’ of the 8th book of ‘Mokeun Sigo (牧隱詩藁)’ and Lee Seungin's ‘Dano’, the antholog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teratures, the Hansik day was a Chinese swinging day, and our country swung on the day of Dano festival. The writer of poetry is not a person who swings directly on the swing, but a recorder in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The place where the swings appeared in the Hanlimbyeolgok chapter 8 was Baekjeongdong palace in Gaeseong, the capital city of Goryeo, and the time was Dano day in May 1216. The other city's swing places were in each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subject of the time and space of the swinging provided the basis for applying the data of the Joseon Dynasty, modern and contemporary. we could find basic momentum to set up basic data to suggest and establish some standards for the swing facility. We know the fact that the viewpoints of swinging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s and political positions. There was no extensive study on the swing play in Koryo Dynasty. To make accurate preciseness of the study on the swing, it requires deeper study on time background of literary writers, social custom and ideology, and exegesis and commentary could enables to folklore study on the swing play so far.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origin of swinging of the Koryo Dynasty, I have searched the subject of transmission, meaning analysis and space-time of swinging through swinging appeared in the poems of Lee Gyu-bo's ‘Dano Gyun Chucheon Yeohee (端午見鞦韆女戱)’, ‘Hansikil Daeinbulinji’, classical scholars' ‘Hallimbyeolgok (翰林別曲) Chapter 8’, Lee Saek's ‘Swinging’ ‘Dano’ of the 8th book of ‘Mokeun Sigo (牧隱詩藁)’ and Lee Seungin's ‘Dano’, the antholog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teratures, the Hansik day was a Chinese swinging day, and our country swung on the day of Dano festival. The writer of poetry is not a person who swings directly on the swing, but a recorder in the position of the observer. The place where the swings appeared in the Hanlimbyeolgok chapter 8 was Baekjeongdong palace in Gaeseong, the capital city of Goryeo, and the time was Dano day in May 1216. The other city's swing places were in each province. The analysis of the subject of the time and space of the swinging provided the basis for applying the data of the Joseon Dynasty, modern and contemporary. we could find basic momentum to set up basic data to suggest and establish some standards for the swing facility. We know the fact that the viewpoints of swinging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s and political positions. There was no extensive study on the swing play in Koryo Dynasty. To make accurate preciseness of the study on the swing, it requires deeper study on time background of literary writers, social custom and ideology, and exegesis and commentary could enables to folklore study on the swing play so f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북아 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