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냉전 시 소련의 해양전략과 미국의 대응 (The Soviet Maritime Strategy in the Cold War and The U.S. Respons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3.12
25P 미리보기
냉전 시 소련의 해양전략과 미국의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군사 / 89호 / 363 ~ 387페이지
    · 저자명 : 정광호

    초록

    1920~1930년대 소련의 군사전략이 대륙 지향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해양전략 사상이 공존하고 있었다. 하나는 전통적인 해양국가방식을 추구하는 ‘노장학파(The old school)’로서 제해권 장악을 위해서는 지정학적으로나 실질적인 군사력의 한계로 제한을 받더라도 전함과 순양함위주의 핵전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것은 콜롬과 마한의 고전적 해양전략 이론과 맥을 같이 하는 사상이다. 또 다른 하나는 고속정, 구축함, 잠수함, 육상기지 항공기 등의 작은해군(small navy)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소장학파(The young school)’로서 소련 해군이 공격하여 적을 격파하고 제해권을 획득하기 보다는 적의 제해권 획득능력을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두 학파에 이어 ‘전력 균등화 전략’을 주장하면서 ‘제한적 제해권’과 1949년에 가서는 ‘적극적 현존함대’ 전략을 주장했던 ‘소련학파(The soviet school)’가 등장하였다.
    한편, 소련은 1956년 고르시코프의 등장으로 해군력을 국가정책의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고르시코프의 ‘해양거부전략’을 소련의 해양전략으로 채택하면서, 소련은 1970년부터 태평양 지역으로 국가이익을 위해 해군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소련 해군의 태평양 지역으로의 세력 증가는, 2차 세계 대전 후 대서양 지역에서 지상군 중심의 전략으로 수세적인 역할(해양통제 등)만을 강요받았던 미국 해군으로 하여금, 적극적 해양전략으로의 변화를 주는 계기가 되었다. ‘공세적 해상타격’, ‘해양계획 2000’, ‘600 함정 해군’ 등의 개념들이 미 해군의 군사적 교리를 강화시켰고, 이것은 구체적이고 명확한 미국의 해양전략의 탄생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냉전시대 소련의 적극적인 해군력 증강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난 미국의 해양전략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Soviet’s military strategy was continent oriented in the 1920~1930, the Soviet Union had two maritime strategies.
    The first was ‘the old school’ that pursed the traditional maritime strategy, contending that it had to strengthen nuclear powered battleships and cruises to command the sea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geopolitics and sufficient forces and this is in the same vein as the classical theory of maritime strategy by Colomb and Mahan. The second was ‘the young school’ that pursued small navy with patrol killers, destroyers, submarines and land based naval aircraft, contending that it could deny enemy’s command of the sea, which is better than to defeat the enemy and command the sea. Following the two schools, the soviet school emerged which emphasized the limited sea power, focusing on the equal force strategy and current aggressive fleet in 1949.
    On the other hand, the Soviet Union in 1956 had made use of a naval power as a means of national policy with the advent of Gorshkov. Since 1970, sea denial strategy was adopted by the Soviet’s maritime strategy of the Soviet Union and started to expand the Soviet Union’s interest in the Asia-Pacific region.
    As the Soviet navy increased his power in the Pacific region, the U.S. Navy changed to active maritime strategy. in the past the U. S. navy was forced to play a passive role with a ground oriented forces in the Atlantic region after World War-Ⅱ. The concept of ‘aggressive maritime strategy,’ ‘Sea Plan 2000,’ and ‘600 Navy Ships’ had strengthened U. S. navy’s doctrine and these became the specific and clear maritime strategy of the U. S.
    Therefore, this article will find out the changes in maritime strategy of the U. S. in response to the Soviet maritime strategy during the Cold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군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