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춘수 ‘무의미시’의 제의(祭儀)적 성격 연구 (A Study on the Ritual Feature in the Meaningless Poetry of Kim Chun-su)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08
26P 미리보기
김춘수 ‘무의미시’의 제의(祭儀)적 성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47호 / 263 ~ 288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김춘수의 무의미시는 단순히 의미의 해체라는 포스트 모더니즘적 기획에 해당되는 대신 치유와 재생이라는 보다 높은 차원으로 귀결된다. 그것은 김춘수가 무의미시를 쓰게 된 이유가 정치적 폭력에 의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서였다는 점과 그의 무의미시가 ‘서술적 이미지’의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리듬의 언어’, ‘주문의 언어’ 등 보다 순수한 언어를 향한 단계를 밟아갔다는 점에서 짐작된다.
    김춘수의 무의미시가 궁극에 있어 주문의 언어가 되고 신과 소통하는 언어가 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이를 제의성의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다. 제의는 인간과 신의 소통을 통해 인간의 영혼을 고양시키는 의도를 지닌 의식(儀式)이다. 제의에서 주체가 겪는 시련과 인내의 고통스런 과정은 육신의 죽음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띠게 된다. 주체는 세속적인 세계로부터 격리된 채 미궁과 같은 혼돈의 원초적 지대로 진입하게 되며 이속에서 의식의 파괴 및 무의식으로의 하강을 겪게 된다. 영혼을 정화시키는 계기가 되는 이러한 과정을 거침으로써 주체는 치유와 재생을 경험하게 된다.
    김춘수의 『처용단장』에서 드러나는 자아의 무의식적 상태는 제의에서 겪게 되는 원초적 혼돈의 상태를 나타낸다. 김춘수의 의식의 파괴는 제의적 공간에서 벌어지는 퇴행의 양상에 해당한다. 김춘수에게 회귀의 제의적 공간이 되어준 것은 ‘바다’다. 김춘수에게 ‘바다’는 죽음과 생명이 공존하는 경계의 공간이자 ‘처용’이라는 신을 상징한다. ‘바다’를 중심이미지로 삼고 있는 『처용단장』은 파괴와 죽음을 거쳐 치유와 재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형상화하고 있다.
    한편 『처용단장』에 나타나는 서술적 이미지와 음운 분해 양상은 언어 살해라는 희생양 모티프의 의미를 지닌다. 희생제물은 제의의 필수적 요소로 역시 신과 인간을 매개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김춘수 시에 나타나는 제의의 요소는 『타령조』 연작시에 나타나 있는 ‘노래’ 형태의 시적 구조이다. 김춘수의 시에서 발견되는 ‘노래’는 그가 시론에서 말한 ‘리듬의 언어’ 및 ‘주문의 언어’와 관련된다. ‘노래’ 구조의 시들 가운에 의미의 소거가 극대화된 시들은 종교적 진언과 유사한 형태가 된다. 김춘수의 ‘노래’의 시를 ‘주문의 언어’라고 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결국 김춘수가 무의미시를 통해 보여준 자아의 양상과 언어의 실험들은 모두 제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요소들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김춘수가 보여준 언어적 실험들, 언어를 파괴한다거나 ‘노래’의 시적 형태를 구축한 일은 언어를 희생제물로 삼는 측면과 언어를 제의의 방법으로 간주하는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김춘수는 언어를 매개로 하여 정치적 폭력을 극복하고 새로운 자아로 거듭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들은 김춘수의 무의미시가 자아의 치유와 갱생을 위한 제의적 시쓰기의 시공간에 해당되었음을 말해준다.

    영어초록

    Kim Chunsu’s meaningless poetry is dedicated not to the deconstruction of post modernism but to healing and regeneration which is in the higher state. It is assumed in the point of that Kim Cunsu was eager to overcome trauma occurred by the political violence and every stage of meaningless poetry like a nonsense-image, a rhythmical language, and a magic language is for the pure language.
    Kim Chunsu’s meaningless poetry eventually pursue the magic language communicated with a god. This is why his poetry could be studied in terms of a ritual feature. A ritual ceremony is aimed for the rising of human spirit by the power of god. The painful process of enduring hardship symbolically means the death of body. A isolated man belongs to the chaos province and experience to descend to unconsciousness. Through this process, a man can be regenerated.
    The man’s unconsciousness in the 『Cheoyongdanjang』 reveals the chaos in the course of ritual ceremony. The deconstruction of Kim Chunsu’s consciousness is the degenerated aspect in the middle of ritual space. ‘Sea’ is the space of regression for Kim Chunsu. ‘Sea’ is the conterminous space between death and life and the symbol of Cheoyong. The 『Cheoyongdanjang』 including sea imagery describes the process of a regeneration after a death.
    Meanwhile nonsense image and phoneme-decomposition in the 『Cheoyongdanjang』 means the sacrifice motif of killing language. A sacrificial offering is the essential element in ritual ceremony which relates man and devine. Besides there is a ritual element in the poem of song-form in the 『Taryeongjo』. The song in Kim Chunsu’s poetry is related with a rhythmical language and a magic language. It is likely regional words.
    Therefore the persona’s condition and the language experiment in Kim Chunsu’s meaningless poetry are the eliments for the ritual process. Especially Kim Chunsu’s language experiment like a deconstruction and song-structure indicates the ritual object and the ritual method at the same time. Kim Chunsu hoped to overcome political trauma and regenerate to new human. These points say Kim Chunsu’s poetry is the ritual poem-writing space for human’s remedy and re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