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번당가>의 창작경위와 시조사적 의의 (The Creation Process of Kyungbeondangga and Significance in Sijo Histo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05
31P 미리보기
&lt;경번당가&gt;의 창작경위와 시조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40권 / 65 ~ 95페이지
    · 저자명 : 배대웅

    초록

    <경번당가>는 작자미상의 『봉사부군일기』에 수록되어 있는 14수의 시조 작품이다. <경번당가> 14수는 연모와 상사의 정을 노래한 월령체시조 12수와 앞에서 진행된 시상을 마무리하는 역할을 하는 2수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봉사부군일기』의 작가라고는 할 수 없지만 그 안에 부방기록이 남아있는 이진문이 무인이었다는 것에서 무인시조와 <경번당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무인시조에서도 애정을 노래한 시조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선조에는 변방의 무인들을 위해 기녀들을 파견했다는 기록과 여타 선학들의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무인이 애정을 노래한 경우는 주로 그들과 함께 생활했던 기녀들과 수창을 하거나 그들의 연회현장을 목격한 경우였다. 그리하여 작가가 확정된 기녀들의 시조와 <경번당가> 사이의 접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관서지방에서 활동하였던 기녀들의 시조 몇 수와 <경번당가>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경번당가> 14번째 시조는 여러 시조들과 연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경번당가>는 ‘변방지방으로 부방을 갔던 무인이 그곳에서 기녀들에게 불러줬던 노래’ 혹은 ‘변방의 기녀들이 불렀던 노래를 기록한 것’, ‘다른 지방의 기녀들이 불렀던 노래를 패러디 한 것을 변방의 기녀들이 불러줘 기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세 가지 방향으로 나뉘긴 하지만 어떤 경우에서건 <경번당가>는 관서지방의 기녀문화 안에서 산생된 시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번당가>는 이전부터 “유일무이한 월령체 시조”로 평가받았던 이세보 시조와의 영향관계도 추정해볼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하겠지만 <춘면곡>의 경우처럼 함평과 함평 주변에서 불렸던 <경번당가>나 관서지방에서 불렸던 <경번당가>가 이세보에게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과 이세보가 전라남도 완도 신지도에 유배를 옴으로써 당시 전라남도 지방에 유통되었던 경반당가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상존한다.
    결과적으로 <경번당가>는 기녀문화, 관서지방의 가창 문화, 전남지역의 가창 문화, 이세보의 시조와 얽혀 있으며 특히 창작시기에 대한 파악은 이세보 시조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Kyungbeondangga” is a work of Korean traditional sijo, included in The Diary of Bongsabugun in unknown authorship. “Kyungbeondangga” is composed of 14 verses. 12 verses sing about yearning and affection for the 12 months of the year, and the last two verses complete the poetic concepts in the previous verse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of the sijo of military people and “Kyungbeondangga” may be contemplated. This is based on the Bubang(a military visit to secure the border) record of Lee Jinmoon, who was a military person, although not the author of The Diary of Bongsabugun. Therefore,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among the sijo of military people, there were ones that sung of yearning and love. Furthermore, in the Joseon dynasty, there is a record that ginyeos(entertaining girls) were sent for the military people stationed in the borders. With this record and the studies of scholars in the past,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e military people mainly sang of affection when they sang with the ginyeos who were a part of their daily lives, or when they observed a banquet where the ginyeos performed. Therefore, we sought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sijos of ginyeos with known ownership and “Kyungbeondangga”. As a result, we were able to find common traits between “Kyungbeondangga” and the sijos written by ginyeos who worked in the Gwanseo region (the north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Verse 14 in particular was found to be related to various sijos of the region. That is, “Kyungbeondangga” may be seen as ‘a song that a military person sang to a ginyeo on his Bubang to a border area’, ‘a written record of a song of a ginyeo who worked in a border area’, or ‘a written record of a parody of a song of the ginyeos in another region sung by a ginyeo in a border area’. It parts into three possibilities, but we can see that “Kyungbeondangga” is a sijo that roots from the ginyeo culture in the Gwanseo region regardless of which case it may fall under.
    In addition, we may assum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Kyung- beondangga” and the sijo written by Lee Sebo, which was assessed as "the only sijo written in the form of praising the 12 months of the year". Of course, further study is necessary in this directi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s the case of “Chunmeongok”, “Kyungbeondangga” sung in the regions around Hampyeong or Gwanseo may have influenced Lee Sebo, or that Lee Sebo was exposed to the “Kyeongbeondangga” which was then circulated in the Jeollanamdo regions during his exile in Shinjido, Wando, in Jeollanamdo.
    In conclusion, “Kyungbeondangga” is related to the ginyeo culture, the singing culture of Gwanseo and Jeonnam regions, and the sijo of Lee Sebo. Especially, the creation period can be assumed through conducting a comparison study with the sijo of Lee Seb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