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아 박용철 시조의 창작 배경과 시적 지향 (The creation background of sijo and poetic orientation of Yong-A, Park Yong-cheol)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2.05
33P 미리보기
용아 박용철 시조의 창작 배경과 시적 지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남어문논집 / 1권 / 53호 / 61 ~ 93페이지
    · 저자명 : 김준

    초록

    용아 박용철은 시문학파의 결성과 활동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중요한 인물이다. 따라서 박용철에 대한 논의는 근대시인 또는 순수시론의 영역에 집중하여 조명되어왔다. 이와 같은 연구 경향은 근대시인으로서의 박용철의 면모를 드러내고 심화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박용철 연구의 확장성을 억제하고 논의의 범위를 축소하는 한계도 지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용철이 근대시인이면서 시조시인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으며, 시조 창작 배경과 시적 지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박용철 시조의 전체적인 현황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서도 박용철이 시조를 창작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는 있었지만, 작품의 전체 분량과 수록처 등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박용철이 시조를 습작 차원에서 창작했다는 선입견이 형성되었다. 본고의 논의 결과 박용철이 창작한 시조는 95수 가량인데 그의 창작 자유시가 70편 내외라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박용철의 시조 창작은 의도적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박용철이 시조를 창작한 배경은 연희전문에서 수학하던 시절 위당 정인보와의 인연을 꼽을 수 있다. 여기에 덧붙여서 부인 임정희와 연애하던 시기에 주고받았던 편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편지의 내용을 참고하면, 박용철이 시조를 창작한 직접적인 요인은 개인의 주관적 감정 표출을 위해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박용철이 시를 창작할 때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자유시를 창작할 때도 적용되던 것이었다. 이를 통해서 박용철은 시조를 노래가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담아내는 시의 한 양식으로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박용철은 시조와 자유시를 창작할 때 개인의 주관적 감정을 표출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었다. 그렇다면 박용철의 시조와 자유시가 변별되는 가장 큰 기준점은 무엇일까. 그 기준점은 바로 개인 체험에 기반한 창작이라는 것이다. 박용철의 시조에는 직접 체험했던 일화가 제시되어 있다. 이 체험은 부인 임정희, 친우 염형우와 윤심덕, 숙부, 본인, 태어날 아기 등 구체적인 시적 대상과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 이는 박용철의 자유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지점이다. 즉, 박용철은 자신이 체험했던 바에서 느꼈던 감정을 표출하는 양식으로 시조를 선호했음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서 박용철 연구의 영역을 확장함과 동시에, 박용철 시조 연구를 위한 디딤돌을 놓았다는 점에서 일정한 기여를 했으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Yong-A Park Yong-cheol is an important figure who exerted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activities of the Poet and Literature School. Therefore, the discussion of Park Yong-cheol has been focused on the realm of modern poets or pure poetry. Previous studies with this trend played a certain role in revealing and deepening the aspect of Park Yong-cheol as a modern poet.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also had limitations that inhibit the scalability of the study on Park Yong-cheol's and narrow the scope of discussion.
    In this study,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Park Yong-cheol was a modern poet as well as a sijo poet, and looked into the background of sijo creation and his poetic orientation. To discuss this, the author first looked at the overall status of Park Yong-cheol’s sijo. Although the previous studies recognized that Park Yong-cheol created sijo, the total volume of the work and their recording location were not organized. Due to this, the prejudice that Park Yong-cheol created sijo as a study was formed.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Park Yong-cheol created about 95 sijos, but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his creative free poems is around 70, it can be inferred that Park Yong-cheol's sijo creations were intentional.
    Park Yong-cheol's background in creating sijo can be attributed to his relationship with Widang Jeong In-bo when he was studying at Yeonhui University. In addition to thi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letters sent and received while dating her wife, Lim Jeong-hee.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these letters, it can be seen that the direct factor in Park Yong-cheol's creation of sijo was that they were created to express his subjective feelings. This was basically what Park Yong-cheol had when he wrote poetry, and it was also applied when he created free poetr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Park Yong-cheol recognized sijo not as a song, but as a style of poetry expressing his emotions.
    Park Yong-cheol focused on expressing individual subjective feelings when creating sijo and free poetry. Then, what is the biggest reference point that distinguishes Park Yong-cheol's sijo from free poetry? The reference point is that creation i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Park Yong-cheol's sijo presents an anecdote that he experienced by himself. This experience is closely related to specific poetic subjects such as his wife, Lim Jeong-hee, his close friends, Yeom Hyeong-woo and Yoon Shim-deok, his uncle, himself, and the baby to be born. This is a rare point to find in Park Yong-cheol's free poetry. In other words, it is conceivable that Park Yong-cheol preferred sijo as a form of expressing the emotions he felt in his experiences.
    Through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the author thinks that this study made a certain contribution to studying Park Yong-cheol’s sijo, in that it expanded the field of Park Yong-cheol study and laid a stepping stone for studying Park Yong-cheol’s si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남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