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성복 시에 나타난 영화적 기법의 양상 (The Aspects of the Cinematic technique in Lee Seong-bok’s poe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03
24P 미리보기
이성복 시에 나타난 영화적 기법의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37호 / 215 ~ 238페이지
    · 저자명 : 이기주

    초록

    본 연구는 베르토프의 ‘키노-아이’를 이론적 토대로 하여 이성복 시에 나타난 영화적 기법과의 연관성과 그로 인한 양상을 그의 시와 시론, 산문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이성복은 미학적 실험과 더불어 개인적 삶의 기억을 세계로 확장시키는 방법을 통해 시세계를 드러내고자 했다. 베르토프는 이전의 영화가 인간의 주관적 시선을 모방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인간의 시선과는 다른, 세계 전체를 인식하는 도구로서 ‘키노-아이’를 주장하였다. 이성복 시의 몽타주는 삶의 세부를 기억함으로써 ‘나’와 세계의 본모습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세계의 총체성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키노-아이의 몽타주는 평범한 현실의 시간과 공간, 운동을 파편화하고 재조립하여 은폐된 것을 수면 위로 드러나게 한다. 이성복의 시가 포함하는 미학적 형식들은 내용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데, 몽타주로 나타나는 이질적인 이미지들의 충돌-조합은 모순적 세계를 그대로 드러낸다. 베르토프의 ‘간격’은 이미지와 이미지의 관계 혹은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간격은 ‘붙인 틈’으로, 관객이 새로운 의미나 지각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성복 시에 나타난 ‘간격’은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객에게 현실의 진실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파편화된 현실은 몽타주를 통해 여러 공간으로 재조합되며, 이때의 간격은 단순히 모순만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 이는 세계의 부조리가 과거-현재-미래를 모두 포함한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또한 이성복 시에서 주체의 시선은 이질적 공간에서 타자를 바라보고 이미지를 조합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nd aspects of the cinematic techniques in Lee Seong-bok's poems based on his poetry, poetry, and prose based on Bertov's 'Kino-eye' theoretically. Lee Seong-bok tried to reveal the world of poetry through an aesthetic experiment and a method of expanding the memory of his personal life into the world. Bertov pointed out that previous films were only imitating the subjective gaze of humans, and insisted on Kino-eye as a tool for recognizing the whole world, different from the human gaze. The montage of Lee Seong-bok's poem tries to show the true form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by remembering the details of life. Through this, it plays a role in recognizing the totality of the world. At this time, the montage of Kino-eye fragments the time, space, and movement of ordinary reality and reassembles it to reveal the hidden things. The aesthetic forms included in Lee Seong-bok's poem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 and the collision-combination of heterogeneous images as a montage reveals the contradictory world as it is. Bertov's 'Interval' is a device that enables the relationship or interaction between an image and an image. The gap is a ‘pasted gap,’ which induces the audience to have a new meaning or perception. The Interval in Lee Seong-bok's poems serves to inform the audience about the truth of reality through mutual interaction. Fragmented reality is recombined into multiple spaces through montage, and the gaps at this time do not simply reveal contradictions. It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 absurdity of the world encompass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lso, in Sung-bok Lee's poem, the subject's gaze looks at the other in a heterogeneous space and combines im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