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형도의 시의 미학과 도시 공간의 역학 (The Aesthetics of Gi Hyeongdo's Poetry and Dynamics of Urban Spac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08
36P 미리보기
기형도의 시의 미학과 도시 공간의 역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62권 / 197 ~ 232페이지
    · 저자명 : 하재연

    초록

    이 글에서는 기형도의 시에 나타나는 도시 공간의 특성과 양상을 파악하고, 시의 화자 또는 시 속에 출현하는 인물들과 도시 공간이 이루는 동적인 역학을 분석하였다. 이는 한편으로는 도시라는 구체적 삶의 무대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현실에 대응하는 기형도의 미학적 실천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기형도의 시가 한국시사에 던진 새롭고 유의미한 질문들을 구체화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기형도는 산업화라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재편되어가는 도시 공간이 창출하는 거대한 은폐와 배제, 이를 통해 재생산되는 사회적 폭력에 대한 무감각을 당대의 어떤 시보다 예리하게 간취해내었다. 시인은 도시의 필연적 익명성 속에 분별되지 않고 비정체화된 그들의 얼굴이 순간적으로 드러내는 표정을 보아냄으로써, 존재를 은폐하는 도시의 장막에 구멍을 내고자 한다. 기형도의 시들에서 유난히 ‘본다’는 동사가 많이 등장하는 것은 이러한 시인의 미학적 태도 때문이다. 기형도 시에 등장하는 화자들이 도시 구석 구석의 인물들의 슬픔과 고독을 조심스럽게 관찰하는 것은, 그들의 고통에 연루됨으로써 존재를 망각하지 않으려는 시인의 윤리적 태도와 관련되어 있다.
    출구 없이 캄캄한 시간을 분할하여 도시적 시공간의 은폐에 대응하고 그 구조의 속성을 관통하고자 하는 시인의 태도가 응시의 미학이었다면, 도시적 삶의 구조가 개인에게 가져온 일상화된 고립과 단절감을 넘어서는 시적 전환과 희망은 기형도의 시에서 역설적으로 붕괴의 순간에 실현된다. 시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갑자기 흘리는 눈물이나, 불현듯 무너지고야 마는 사태는 외부의 시공간에 동화되어 풍경에 침윤되어 가던 신체를 그 시공간의 구조에서 분할해낸다. 기형도의 시 속에 붕괴로 인해 열리는 “불안과 가능성의 세계”는 변증적 전환의 계기를 창출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aspects of urban spaces and dynamics of characters in Gi Hyeongdo's poetry. This is the attempt to represent his topography of poetic aesthetics in concrete surroundings of urban space within Korean poetry history.
    Gi's poetry is the most vivid sketches of concealing and alienations around urban system reproduces social violences during Korean industrialization. He watches and displays unspecified and unrefined instance faces of urban people to puncture the concealing curtain of metropolis. In this poetic aesthetics, the frequency of the verb, 'watch[본다]' is very often used in his poetry. Moreover, in his ethics, his poetic narrator usually observes sorrow and loneliness carefully.
    His attitude to resist to the concealment of urban time and space by dividing dark time without an exit was the aesthetics of 'gaze'. The poetic transformation and making hope beyond the everyday isolation and disconnection brought to individuals by urban life structure are ironically realized at the moment of collapse. The tears that the characters in the poem suddenly shed or collapse divide the body that had been assimilated and infiltrated by the landscape from the structure of the urban space and time. The "world of anxiety and possibility," which opens due to the collapse in the poem of Gi Hyeongdo creates an opportunity for a dialectical trans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