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성교 시 연구-<현대문학>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Lee Seong-gyo's Poetry ―Focusing on the published works of Hyundai-Munhak)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02
41P 미리보기
이성교 시 연구-&lt;현대문학&gt;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73호 / 81 ~ 121페이지
    · 저자명 : 남기택

    초록

    이성교 시 세계는 학생문사 시절을 거쳐 1950년대 중반 『현대문학』으로 등단한 이래 11권의 시집에 이르는 방대한 경계를 지니고 있다. 90세로 마감된 생애 내내 시작 활동을 지속함으로써 문인으로서의 삶을 일생 동안 실천한 전범적 사례에 해당된다. 학생문사 시절 『수험생』에 발표된 이성교의 「남매」는 그간 실체가 알려지지 않았다. 이 작품은 어머니의 적멸이라는 가족사적 상처를 동화풍 어조로써 묘사하면서, 시적 주체를 대상화한 채 감정적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성교가 『현대문학』에 발표한 작품은 등단작을 포함하여 2004년까지 총 64편에 이른다. 연대별로는 1950년대 14편, 1960년대 15편, 1970년대 14편, 1980년대 14편 등으로 고른 분포를 보인다. 『현대문학』을 매개로 생산된 작품류에서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특징은 자연이나 인생을 소재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통주의에 입각하되 고향인 강원 지역의 장소성과 지역사, 방언과 설화를 시적으로 전유하는 방식은 시 세계 전편을 관류하는 성격의 하나로 규정된다. 물론 이성교 시 세계는 다양한 변주 양상을 포함하는데, 그 속에서도 토속성 전유라는 주조를 유지하며 고유한 시적 지평을 다져 나갔다. 그 결과 이성교 시는 스승 서정주가 강조한 신라정신 같은 추상을 넘어서 로컬 히스토리의 변주로 특화될 수 있었고, 개성적인 영역을 생성하는 데로 나아갔다. 또한 이성교의 많은 작품들은 로컬리티의 구체적 형상화를 통해 존재론적 의미를 묻는 구조를 공통적으로 지닌다. ‘피’의 상징이 환기하는 바와 같이 이성교의 자연을 통한 존재론은 삶의 고투나 운명적 적멸 등과 양립하고 있는 것이었다. 한편 이성교가 문학 활동을 시작하는 1950년대는 강원권 지역에서 현대적 의미의 문학장이 본격적으로 정립되기 이전이다. 이성교의 학생문사 시절 활약이나 문예지로의 등단 등은 지역문단을 형성하는 기원적 의미를 지닌다. 『현대문학』을 통한 이성교의 문단 활동은 트랜스로컬적 차원에서 지역문단 활성화의 기제로도 기능하였다. 당시 『현대문학』에는 이성교 외에 강원 영동권 출신으로서 황금찬, 최인희, 김유진, 함혜련, 이성선, 김익하, 김영기, 신봉승 등의 작품이 발표되고 있었다. 그중 이성교는 가장 많은 작품 활동으로 문학적 영향력을 행사한 사례에 해당된다. 이런 점에서 이성교 시는 지역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문제적 대상임이 분명하다.

    영어초록

    Lee Seong-gyo's poetry has a vast boundary ranging from 11 volumes of poetry since he went through his days as a student writer and debuted as Hyundai-Munhak in the mid-1950s. It is a model case of practicing life as a writer throughout his life by continuing his writing activities throughout his life, which ended at the age of 90. Lee Seong-gyo's 「Nam-mae」 which was published in Suheomsaeng during his student literary career, has not been known. This work depicts the family history of the mother's extinction through a fairy tale tone, while objectifying the poetic subject and maintaining an emotional distance.
    A total of 64 works published by Lee Seong-gyo in Hyundai-Munhak since his debut work until 2004. 14 in the 1950s, 15 in the 1960s, 14 in the 1970s, and 14 in the 1980s, showing an even distribution. In the 1990s, when he reached his old age, there were 5, and in the 2000s, 2. The externally revealed characteristic of the works produced through the medium of Hyundai-Munhak is that nature or life is used as the subject matter. This is a formal characteristic that continues from the trend at the time of debut to the later period. Based on traditionalism, the method of poetically appropriating the unique place, customs, and local history of Gangwon, the hometown, is defined a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that flow through the entire world of poetry.
    Lee Seong-gyo's poetry includes various variations as well as the world, and even in such variations, she maintained the main focus of appropriation of the locality of place and established her own poetic horizon. Lee Seong-gyo's poetry could be specialized as a variation of local history that goes beyond abstraction like the spirit of Silla, and should be evaluated as having moved forward to create a unique and individual realm. In addition, many other works are leading the development of the award by varying the unique placeness of the hometown and Gangwon region, local history, folktales and dialects.
    These works have a common structure that asks for ontological meaning at a small level through the specific embodiment of locality. The 1950s, when Lee Seong-gyo began his full-fledged literary activities, wa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a literary field in the modern sense in the Yeongdong region of the Gangwon region. Lee Seong-gyo's activities should be recor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at they hav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regional literary circle. Lee Seong-gyo's literary activities through Hyundai-Munhak also functioned as a mechanism to revitalize regional literary circles at the translocal level. Lee Seong-gyo is included in the case of publishing the most works and exerting literary influence. In this respect, it is clear that Lee Seong-gyo's poetry is a problematic object that forms a unique meaning in the history of local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