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피안과 모성을 향한 동경과 사랑, 그 희구와 좌절의 시적 공간- 1960년대 구자운의 바다 관련 시를 중심으로 (Longing and Love towards Transmundane and Motherhood, the Poetic Space of Hope and Frustration - Focusing on Sea-related Poems of Koo Ja-woon in 1960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0.09
26P 미리보기
피안과 모성을 향한 동경과 사랑, 그 희구와 좌절의 시적 공간- 1960년대 구자운의 바다 관련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77호 / 41 ~ 66페이지
    · 저자명 : 김청우

    초록

    구자운은 1950~60년대 문학사에서 중요하게 언급됨에도 불구하고 정작 본격적인 연구 성과는 그리 많지 않은 시인 중 한 명이다. 그러나 순수 서정을 토대로 민족 언어를 새롭게 전개하고 개인의 우울과 사회의 역학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보며 그 사이에 놓인 예술적 삶과 언어를 형상화하려 한 그의 시적 작업은 지속적으로 평가할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논의를 보완하는 작업으로, 구자운의 시 중에서 상대적으로 잘 다루어지지 않은 바다 관련 시편들을 대상으로 삼아 그의 시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1960년대 들어, 구자운은 이전까지 도자기에 향했던 관심을 ‘바다’로 돌린다. 바다는 이 시기 구자운의 시세계를 구축하는 틀로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시의 서술어를 지배한다. 시의 화자는 바다를 통해 현실을 인식하고, 자신의 정신 상태와 현실을 다시 바다에 투사하여 읽는 것이다. 무력하고 왜소한 화자에게 바다는 거대하고 압도적인 힘을 보여주는 존재로, 정체되고 고착화한 현실을 타파하는 공간으로 나타난다. 특히 바다의 역동성은 화자에게 ‘작은’ 생명을 죽음으로써 안는 더 ‘큰’ 생명으로 다가온다. 그리하여 바다에서의 죽음은 곧 ‘원천’으로의 회귀이자 더 큰 생명에의 투신이 되어 소외와 고통의 현실로부터 해방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구자운 시에서 그러한 환상은 영원성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제시된다.
    구자운의 시에서 ‘바다’는 혼돈과 사랑의 세계로서, 모종의 억압적 힘에 ‘저항하는 힘’이 가득한 공간으로 이해된다. 그래서 그에게 ‘군중’의 모습은 바다와 겹친다. ‘바다’는 실제 바다이기도 하면서, 속성의 유사성으로 인해 때로는 그와 동시에 ‘항거하는 군중’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바다는 비록 과거 시대의 근원성은 상실했지만 특유의 역동성을 가졌기에 그에게는 ‘피안’이며 ‘자유’이며, 따라서 삶의 희망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안정과 안전을 느낄 만한 ‘장소’가 현실에서 부재한 상황에서, 시적 주체는 자신의 이러한 바다가 주는 환상에 침잠하지 못하고 끝내 의심하며 방황을 종식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바다 공간을 끊임없이 ‘생명의 바다’로 치환하는 낭만주의적 대응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대응은 ‘무한히 열림’으로서의 바다의 공간성으로부터 야기되는 공포와 불안의 감정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는 없는 것이다.
    지금까지 구자운의 바다 관련 시편들은 「청자수병」으로 대변되는 이상적 세계에의 추구로부터 다시 전통적인 「학」의 세계로 이행하는 데 있어 과도기적 성격을 갖는 작품들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바다’는 세계에 대응하는 인식의 틀로서 구자운의 시 전반에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구자운 시세계를 이루는 하나의 ‘축’이자 또 하나의 ‘국면’으로서 자리 잡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청자수병’과 ‘학’의 세계를 만든 시적 논리가 바다 관련 시들에 이미 내재해 있기도 하다는 점에서 다시금 위치 지워져야 한다. 특히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관한 근본적인 고민을 ‘바다’ 이미지를 통해 ‘공간적-시적’ 언어로 풀어냈기에, 이러한 그의 시적 논리와 상상력은 한국 현대시사에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Koo Ja-woon is one of the poets who are importantly mention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1950s and 1960s, but the number of full-fledged research achievements is limited. However, his poetic works, which attempts to embody the artistic life and language in between, newly unfolding the national language based on pure lyricism, taking an in-depth look at individual depression and the dynamics of society, is worth continuing to evaluate. This study complements the existing discussions, and aims to clarify his poetic world in more detail by targeting the sea-related poems that are relatively untreated among Koo Ja-woon's poems.
    In the 1960s, Koo Ja-woon turned his interest in ceramics introduced in the 1950s to the sea. The sea dominates the predicates of the sentences that make up the poem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said to function as a framework for constructing his poetry world. The narrator of the poem perceives reality through the sea, and reads his mental state and reality by projecting it back onto the sea. To a helpless and ‘small’ speaker of the Koo Ja-woon’s poem, the sea appears as a being that shows enormous and overwhelming power. The dynamism of the sea space makes it a space of possibility to break through a stagnant and fixed reality, that is, a reality that gives the speaker a sense of alienation and pain, in other words, it makes them regarded as a more ‘big’ life embraced by the death of a ‘small’ life. In that sense, the death of a man who commits to the sea becomes a return to the ‘source’ and a commitment to a greater life, and such an illusion is presented as a way to realize eternity in Koo Ja-woon's poem.
    In Koo Ja-woon's poem, the sea is understood as a world of chaos and love, a space full of ‘power to resist’ some sort of repressive force. So, for him, the appearance of ‘crowd’ overlaps with the sea. ‘Sea’ is also the actual sea, and sometimes it is also the ‘rebel crowd’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identified attributes. Although the sea has lost its originality in the past, it has a peculiar dynamism, which is why it is regarded as a “Transmundane” and “freedom” to him, and thus a hope of life.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place’ to feel stability and safety in reality, the poetic subject does not submerge in his fantasies, doubts, and cannot end wandering. Despite the romantic response that constantly replaces the sea with the sea of ​​life, it reveals the fact that it cannot fundamentally resolve the feelings of fear and anxiety arising from the spatiality as ‘infinitely open.’Until now, Koo Ja-woon's sea-related poems have been understood as works of a transitional character in transitioning from the pursuit of the ideal world represented by the “Cheongjasubyeong(celadon kuṇḍikā)” to the world of “Hak(crane)”. However, for Koo Ja-woon, the sea is acting in the whole world of poetry as a frame of recognition that responds to the world. It is positioned as an axis of the poetry world of Koo Ja-woon and as another phase. On the one hand, it needs to be repositioned again, because the poetic logic that created the world of “Cheongjasubyeong” and “Hak” is already embedded in sea-related poems for so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