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 (The Activities of American Red Cross Women during the Vietnam War)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5.06
33P 미리보기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여성학논집 / 32권 / 1호 / 89 ~ 121페이지
    · 저자명 : 김미덕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군사주의와 젠더 관점에서 베트남 전쟁 당시(1962-1975) 미국 적십자여성의 활동을 살피는 것이다, 적십자는 1881년 클라라 바톤의 창설 이래 미 정부 및 군 당국과의 밀접한 연계 속에서 군인과 군인 가족 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적십자는 베트남에서 11년간 활동했는데 주요 활동으로 군과 고향을 연계한 부대 서비스, 군병원 서비스, 오락센터와 이동클럽을 운영한 해외오락보충부대가 있었다.
    특히 해외오락보충부대는 1965년 가을 베트남 다낭에 처음 도착하였고 1972년에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 이 부대 소속의 여성들은, 군 기지 근처에 클럽을 세워 군인들에게 오락과 휴식을 제공하고, 센터가 없는 외딴 곳에 있는 부대는 여성들이 직접 방문해커피나 도넛을 나눠주고 오락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적십자 여성 노동자는 대개 20대중반의 미혼 여성으로서 대학교육과 사회경험을 우대했기 때문에 백인 중산계층 배경의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주요 임무는 군인의 사기 진작과 건전한 오락을 제공하는것으로서, 고향의 어머니, 애인, 여동생이나 누나의 역할을 대행했고 남성 군인이 지켜야 하는 조국의 여성을 상징했다. 활동의 어려움에는 열악한 생활환경,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공간에서 파생하는 젠더문제, 전쟁으로 인한 긴장과 무력감 등이 있었다.
    이들의 활동은 군사주의와 젠더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적십자여성의 활동은 남성의 사기 진작을 목적으로 보살핌과 위로라는 전통적인 성역할에 충실했다. 둘째, 다만 그들의 존재는 고향에 두고 온 어머니, 애인, 누이동생의 이미지로 상징적으로 활용되었다. 따라서 성적 대상화가 부재한 것은 아니었지만 대체로 군인들로부터예의바른 대우를 받았다. 셋째, 여성들의 나이가 군인들보다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소녀라 불리며 보호와 위안의 교환이라는 젠더 위계의 재생산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군인들이 보호해야 하는, 정숙한 미국 여성의 도덕성과 그렇지 않은 현지 여성의 부정적 이미지간의 이분법 또한 작동하였다. 한편 여성 자신에게는, 다른 국가를 접하고 전통적으로 남성 영역인 전쟁에 참여하는 도전과 기회의 장이라는 것 또한 분명했다. 이 글은 베트남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의 이러한 모순적이고 복잡한 상황을 보이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activities of American Red Cross(ARC) women during the Vietnam War(1962-1975) and to explain them with the prism of militarism and gend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ARC by Clara Barton in 1881, the organization has supported the soldiers and their families with the close cooperation of the U.S. government and the military authority. During 11 years of the activities of ARC in Vietnam, it provided three main services, Service to Military Installations(SMI), Service to Military Hospitals(SMH), and Supplemental Recreational Activities Overseas(SRAO).
    In particular, the first SRAO unit was arrived in September 1965 in Da Nang, Vietnam and the program was ended in 1972. The SRAO program ran recreation centers to provide recreation and rest to soldiers and delivered active audience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small scale troops where no service clubs were available, the women served coffee and doughnuts with a clubmoible.
    ARC women were required to be college graduated, in middle 20s, and thus predominantly consisted of white middle class women. The main activities were to boost soldiers’ morale and to provide wholesome recreations, and the women were symbolically represented as mothers, sisters, and lovers in the States.
    Difficulties included poor working environment, gender issue in terms of overwhelmingly male-dominated environment, and the powerlessness from the war.
    The women’s activities can be explained in relation to gender and militarism as such. First, the clear aim of their presence during the vietnam war was to boost soldiers’ morale and their activities reproduce the traditional sex role such as care and comfort. Second, along with the comfort service, they were represented as symbols of the America’s mother, sister and lovers whom soldiers should protect and fight for rather than having direct sexual contacts. Although there was not absence of sexual objectification of the women, it is safe to say that they were politely treated by the soldiers in general. Third, we can confirm gender hierarchy in that they were simply called girls although they were older than soldiers. Fourth, the dichotomy between respectable American women and negative images of local women was also assumed. In the meantime, since the motivation of their voluntary work overseas were to experience foreign countries challenging traditional sex role in the States and to participate a war considered conventionally as men’s sphere, the women wielded their agencies. This article tries to show such a paradoxical and it complicated situation relating the activities of ARC during the Vietnam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