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弗庵 崔興遠 詩의 特質 (The Characteristics of Heungwon Choi’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09
29P 미리보기
百弗庵 崔興遠 詩의 特質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36호 / 37 ~ 65페이지
    · 저자명 : 박규홍

    초록

    본고에서는 18세기 조선 후기의 鄕村共同體를 이끌어 夫仁洞과 옻골을 樂土로 만든 선비 百弗庵 崔興遠의 詩를 고찰했다. 백불암은 文集에 57편 69수에 불과한 시를 남기고 있는데, 시가 주는 메시지에서 강한 힘을 느낄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의 삶과 시를 함께 조명하여 백불암의 시가 갖는 특별함을 밝혀보고자 했다.
    16세 때 지은 시에서 百弗庵의 詩的 才能을 확인했다. 하지만 백불암은 문사의 기교에 힘을 쏟으면 본심을 잃는다는 程伊川의 생각에 동조하는 뜻을 여러 군데에서 드러냈다. 이것이 寡作의 이유로도 보이는데, 근본적으로는 『詩經』에 대한 孔子의 시각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백불암은 25세 때 出仕하지 않고 故鄕에서 仁義를 실천하는 삶을 살겠다는 결심을 했다. 27세 때 族大父 崔壽甲을 도와 <선산분영록>과 <봉선절목병서>를 정리한 적이 있는데, 이것이 이후의 활동에 큰 동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듬해인 28세 때에 여러 편의 시를 지었는데, 正道를 걷고자 하는 자신의 마음가짐과 향촌사회를 위해 해야 할 일에 대한 고뇌가 이 시기의 시에 묻어난다. 부친 삼년상을 마친 이듬해 드디어 <夫仁洞洞約>을 제정하고, 두 개의 창고(先公庫, 恤貧庫)를 세우게 된다. 그의 나이 35세였다. 이 당시 시에는 자신이 지향하는 바, 소망, 경계의 마음 등이 잘 나타나 있다.
    ‘詩’가 인간의 뜻이 표출된 것이라면 ‘삶’이란 그 뜻이 현실로 구현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데, 백불암은 孝悌와 饑民救濟 등의 뜻을 실행에 옮긴 삶이 남달랐던 만큼 그 뜻이 표출된 詩도 특별하게 읽힌다. 무엇보다 詩的話者가 詩的聽者에게 던지는 메시지에 강한 힘이 느껴진다는 점을 밝혔다.
    報本의 마음으로 先富後敎 실행의 뜻이 확고했던 백불암은 46세 때에 北溪精舍를 짓고 51세 때에는 聾淵亭을 완공한다. 이 당시의 시에서 북계정사에 대한 그의 애정이 어떠한가를 읽을 수 있다. 57-58세 때의 시에서 한평생 道學思想을 남다른 실천력으로 이행하며 眞理의 眞味를 느꼈던 백불암의 精神世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백불암의 시에서 느낄 수 있는 강한 힘의 메시지는 백불암과 같은 실천의 삶을 살지 못한 사람에게서는 나올 수가 없다. 뜻을 삶 속에서 그대로 실천한 백불암이 보내는 메시지는 뜻만 담아낸 시의 메시지보다 훨씬 강한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것은 백불암의 시가 갖는 매우 중요한 특질이다. 백불암의 시를 통해서 ‘뜻을 나타낸 것’이라는 詩의 本質을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tudied the poems of Heungwon Choi(崔興遠, 1705-1786) whose pen name was Baekbulam(百弗庵). He brought happiness and wellness to the community of Buindong and Otgol by leading the rural town community rather than seeking secular prosperity from government positions.
    Baekbulam’s talent in poetry was found in the poems that he wrote at the age of sixteen, but he did not put much time and effort into writing poems. His view on poetry that agrees with Eechun(程伊川)’s perspective appeared in many articles, which may have contributed to refraining from writing more poems. However, it is shown that fundamentally he follows the perspective of Confucius on the Book of Odes(詩經).
    Baekbulam once helped his old relative organize the rules on ancestral rites when he was 27, and this experience seemed to be one of the main motivations on his later work. The following year, when he was 28, Baekbulam wrote multiple poems, which reflected his contemplation on the attitude and duties of life. At the age of 35, the year after completing three years of funeral for his father, he finally completed Buindong-dongyak, which dealt with norm for managing rural towns, and built two warehouses, Sungonggo and Hyulbingo. His poems around this time implies his aim, hope, and awareness in life.
    If poem expresses the will of man, life can be interpreted as materialization of the will in real life. Since Baekbulam led an extraordinary life in acting out his will, his poem that expresses his will is also extraordinary. This essay illustrates that, above all, strength in the message that the speaker in the poem pitches at the audience in the poem can be felt in his work.
    Baekbulam, who had a strong faith that education should follow after gathering wealth, built Bukgyejungsa(北溪精舍) at the age of 46 and Nongyunjung(聾淵亭) at the age of 51. His love for Bukgyejungsa is well reflected in his poems that he wrote around this time of his life. Later, in his poems that he wrote when he was 57-58, Baekbulam’s mindset of a true moralist is well illustrated.
    The strong messages that can be found in his poems cannot come from a person who has not lived a life of action like him. The message of Baekbulam who acted out his will comes across as much stronger than the messages from just a will written on a paper.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that Baekbulam’s poems possess.
    The essence of poetry, which expresses one’s will, was newly found through the work of Baekbul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