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정희 시의 청각적 지각과 소리 풍경 (Auditory Perceptions and Soundscapesin Go Jeong-Hee's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09
51P 미리보기
고정희 시의 청각적 지각과 소리 풍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71호 / 167 ~ 217페이지
    · 저자명 : 이경수

    초록

    이 논문은 고정희 시에서 지속적으로 포착되는 소리를 분류하고 귀납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고정희 시에 나타나는 청각적 지각이 어떤 소리 풍경을 의미화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정희의 시에서 청각적 지각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째, 소리가 직접 나타나는 경우로, 이 유형의 시에서는 대개 외부나 내부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예민하게 귀 기울이는 주체가 함께 등장했다. 고정희의 초기 시에서는 바깥에서 들려오는 소리뿐만 아니라 내면에서 들려오는 불협화음조차 시끄러운 소리 풍경을 만들어 낸다. 고정희 시를 읽으며 독자들이 청각적 지각이 지배적으로 쓰였다고 감각하게 되는 데에는 이런 유형의 시들이 구축하는 소리 풍경이 기여하고 있었다.
    둘째, 고정희가 시인으로서 주로 활동했던 1980년대를 표상하는 소리들이 시대의 소리 풍경으로 고정희 시에 나타났다. 1980년대는 바깥에서는 시위와 진압과 구호와 최루탄 소리와 비명으로 늘 가득했고 안에서는 컬러텔레비전의 보급으로 대중문화가 급격히 확산되며 요란한 텔레비전 소리가 가득했던 시절이었다. 침묵을 강요했지만 비어져 나오는 소리들로 가득했던 시대의 특성이 고정희 시에서 청각적 지각을 활용한 시대의 소리 풍경으로 재현되면서 고정희 시에 소리가 넘쳐 흐른다는 인상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청각적 지각은 고정희 시에서 생생한 현장감을 전달하며 시대의 소리 풍경을 완성하거나 균열의 자리를 만들어 냈다.
    셋째, 고정희 시에 나타난 청각적 지각의 또 하나의 유형은 마당굿 형식을 차용한 시들에서 나타났다. 이런 유형의 시들에서는 주체의 발화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타인의 말’이 끼어들었다. 소리 높여 외치지 않으면 시대의 희생양이 되거나 존재를 인정받지 못했던 여성들의 목소리를 끊임없이 들려줌으로써 타인의 말들이 형성하는 소리 풍경은 고정희가 개성적으로 개척해 간 여성 주체의 말하기 형식이 된다.
    여성 주체로서 바깥의 소리에 반응하는 태도와 시대의 소리 풍경, 여성주의적 말하기 방식으로서 창안해 낸 소리 풍경 등은 궁극적으로 종교와 시대와 여성주의적 문제의식이 교차하는 고정희 시의 성취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classify sounds consistently captured in Go Jeong-hee's poems and analyze them inductively, thus examining what soundscapes she signified with the auditory perceptions captured in her poems.
    There are three types of auditory perceptions in her poems. The first type involves sounds appearing themselves. In her poems of this type, there are subjects listening sensitively to sounds from the outside or inside. In her early poems, even discords from the inside as well as sounds from the outside create noisy soundscapes. Readers reading her poems sense that auditory perceptions are used overwhelmingly, and the soundscapes created by her poems of this type contribute to it.
    In the second type, the sounds representing the 1980s when she was mainly active as a poet appear in her poems as the soundscapes of the times. In the 1980s, the outside world was always filled with demonstrations, suppressions, chanting, tear gas sound, and screams. The inside world was full of blaring TV sounds with the rapid spread of popular culture following the supply of color TV s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filled with sounds pressed out of forced silence were reproduced as the soundscapes of the times based on auditory perceptions in her poems, thus contributing to an impression that her poems overflew with sounds. In her poems, auditory perceptions deliver a vivid sense of reality and complete the soundscapes of the times.
    The last type of auditory perceptions appeared in her poems that borrowed the Madanggut form. In her poems of this type, there were various kinds of "speeches by others" intervening in addition to speeches by the subjects. Letting the voices of women, who became victims of the times or had their existence not recognized without shouting loudly, others created soundscapes with their words. These soundscapes evolved into the speech form of female subjects that she pioneered characteristically.
    Female subjects' attitudes toward sounds from the outside, the soundscapes of the times, and the soundscapes created in feminist ways of speaking ultimately demonstrate once again the achievements of Go's poems in which religion, the times, and feminist problematic consciousness cross one an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