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城市全圖詩와 18세기 서울의 풍경 (A poem for 'Seongsijeondo' and the Landscape of Seoul in the eighteenth Centur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9.06
37P 미리보기
城市全圖詩와 18세기 서울의 풍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35호 / 213 ~ 249페이지
    · 저자명 : 안대회

    초록

    이 논문은 <城市全圖詩>를 짓게 된 동기와 과정을 밝히고 작품의 특징을 분석했다. 正祖는 1792년에 漢陽 全體를 그린 큰 그림 <城市全圖>를 그리게 하고, 그 그림을 소재로 奎章閣 文臣들에게 長篇詩를 지으라고 下命했다. 명에 따라 많은 문신이 장편시를 지었고, 정조는 작품을 평가하여 賞을 내렸다. 그 동안 이들 작품의 실상과 내용이 본격적으로 밝혀지거나 분석되지 않았다. 필자의 조사로는 현재 모두 9편의 작품이 남아 있다. 이들 작품은 한양의 경관에서 어떤 풍경을 선택하고, 어떠한 시선과 언어로 묘사했는지 기준에 따라 세 부류로 나뉜다.
    모든 작품은 제왕적 권위의 상징으로서 한양의 화려함을 묘사하는 태도를 공유한다. 그러나 각 작품은 큰 차이가 보인다. 申光河와 徐有榘는 장중하고 고풍스럽게 묘사하여 漢陽을 中國 古代 首都의 모습으로 재현하고자 했다. 반면에 朴齊家, 申宅權, 李學逵 등의 시인은 세속적 사회에서 사람들이 부대끼며 살아가는 생생한 모습과 人情世態를 표현했다. 그에 따라 18세기 후반의 역동적이고 활력이 넘치는 도시 풍경과 도시민의 이미지를 포착해 입체적으로 보여주었다.
    <성시전도> 그림과 시는 한양의 독특한 풍경과 이미지를 내부 사람들의 시선으로 관찰하여 한양을 전체로서 ‘읽는’ 시각을 제공했고, 이후 한양을 ‘읽고’ ‘보고하는’ 문학과 문화의 흐름을 선도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purpose of composing a poem for Seongsijeond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 King Jeongjo had Seongsijeondo depicting the whole city Hanyang(Seoul) painted in 1792 and ordered civil ministers working at Gyujanggak (Palace Library) to write poems about the painting. According to the royal command, many civil ministers composed long poems and king gave a prize after estimating them.
    Until now,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were not analyzed. Nine works of them are presently left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hree kinds by the kind of scenery, perspective, and language. All works have the attitude of describing the brilliance of Hanyang(Seoul) as a symbol of monarchical authority, but each work shows difference. Shin Kwang-ha and Seo Yu-gu represented Seoul as an ancient capital of China with solemn and antique style. Meanwhile, Park Je-ga, Shin Taek-kwon, and Yi Hak-kyu expressed the lively scenes of life and the ways of the common world. As a result, the image of dynamic and vital city life and the townsmen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were captured.
    The painting of Seongsijeondo and poems for the painting presented the 'reading' perspective of Hanyang(Seoul) as a whole by describing the unique sceneries and images of Seoul through an inner eye and took the lead of the stream of literature and culture which 'read' and 'report' Hanyang(Seo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