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원 시의 정치성과 문학적 감각 (The political and literary sense of Go Won'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1.12
28P 미리보기
고원 시의 정치성과 문학적 감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110권 / 195 ~ 222페이지
    · 저자명 : 이형권

    초록

    이 논문은 고원 시의 정치성과 문학성의 상관적 양상을 통시적, 분석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고원은 문단 활동을 시작한 1950년대 초반부터 정치 현실에 남다른 관심을 표명해 왔다. 1960년대 중반기에 미국으로 이주한 이후에도 그곳의 한인 시단에서 활동하면서 정치적 성향을 지속하여 드러냈다. 그의 시는 6‧25전쟁, 4‧19혁명, 5‧16쿠데타, 유신 독재, 5‧18광주 민주화 운동 등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현실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정치 현실에 대한 그의 시적 응전은 문학을 정치와 삶에 예속시키는 것이 아니라, 문학으로 정치와 삶을 갱신하려 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런 점에서 그의 시작 활동은 자크 랑시에르가 말했던 ‘문학의 정치’ 혹은 ‘미학의 정치’를 떠올리게 한다.
    고원이 지향한 ‘문학의 정치’는 1950년대 초반의 전쟁과 혼란한 시대상을 다양한 수사(修辭)로써 묘사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가령 「태양의 연가」는 당시로서는 새로운 주제인 인권 문제를 다루고 있어 흥미롭다. 또한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4‧19혁명이나 5‧16쿠데타와 관련된 정치 현실을 비판하는 시를 선보인다. 예컨대 「독사」는 유신헌법과 독재자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 정신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이 시기에는 아방가르드 시학을 통한 ‘문학의 정치’ 양상을 드러내기도 한다. 형태시의 일종인 「불립문자」는 고원의 시 가운데 가장 실험적이면서도 현실 비판적인 특성을 보여 준다. 이후 1980년대에는 신군부 세력에 의한 폭력적 정치 현실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는 시를 발표한다. 한 예로 「피가 빛나는 빛을 따라」는 광주민주화운동이 지향했던 반독재, 반외세의 투쟁 의지를 형상화한다.
    1990년대 이후 고원의 시에서 정치 현실에 관한 관심은 국내보다는 미국을 향한다. 가령 「L.A. 애가(哀歌)」는 1992년 로스엔젤레스에서 일어났던 폭동과 관련하여 미국 사회의 폭력성과 부조리를 규탄하는 시이다. 요컨대 고원의 시가 이처럼 전 시기에 걸쳐서 일관되게 정치 현실에 관심을 드러내는 것은 미주의 한인시 가운데 특이한 사례이다. 더욱이 그의 시는 정치적 발언들이 함몰되기 쉬운 직설적 표현을 극복하고, 다양한 문학적 수사와 전위적 표현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깊은 인상을 준다. 그의 시는 부정한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문학적 표현을 통해 감각의 재분배를 충실히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그의 시가 문학성 차원의 정치성(精緻性)을 추구하는 데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일부 작품에서는 정치성(政治性)을 지나치게 돌출시켜 ‘정치의 문학’에 머문 한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intended to examine the diachronic and analytical aspects of the political and literary aspects of Go Won's poetry. Go won has been expressing an unusual interest in the political realities since the early 1950s, when he began his literary career. Even after emigrating to the United States in the mid-1960s, he continued to show his political tendencies while working in a Korean troupe there. His poetry was sensitive to the political realities that led to the Korean War, the April 19 Revolution, the May 16 coup, the Yushin dictatorship, and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His poetic response to political reality is notable in that he did not subjugate literature to politics and life, but tried to renew politics and life with literature. In this respect, his beginning activities reminds us of what Jacques Rancière called ‘the politics of literature’ or ‘the politics of aesthetics’.
    The 'politics of literature' aimed at by Go Won starts from depicting the war and chaotic times in the early 1950s through various rhetoric. For example, “Sonata to the Sun" is interesting because it deals with human rights issues, which were a new topic at the time. Also, in the 1960s and 1970s, he presented poetry criticizing the political realities related to the 4ㆍ19 Revolution or the 5ㆍ16 Coup. For example, “The viper" exposes the Yushin Constitution and the intense criticism of the dictator. During this period, the 'politics of literature' is also revealed through avant-garde poetry. A type of form poetry, “Non-letter letters” shows the most experimental and critical of reality among Go Won's poems. Later, in the 1980s, he published a poem expressing his anger against the violent political realities of the new military forces. As an example, “Following the Shining Light of Blood” embodies the will of the anti-dictatorship and anti-foreign forces that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aiming for.
    Since the 1990s, the interest in political realities in Go Won's poetry is directed to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the country. For example, “L.A. Sad Song” is a poem condemning the violence and absurdity of American society in relation to the riots in Los Angeles in 1992. In short, it is a unique case among Korean poetry in the Americas that Ko Won's poetry consistently shows interest in political realities throughout the period. Moreover, his poetry leaves a deep impression in that he overcomes the direct expression of political remarks, which is prone to subsidence, and shows various literary rhetoric and avant-garde expressions. His poetry can be said to have faithfully redistributed the senses through critical recognition of the unjust political reality and literary expression. However, although his poems have achieved certain results in pursuing the politicity of the literary dimension, some works exaggerate the politicity and reveal the limits of staying in ‘political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