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주한인 시문학의 트랜스내셔널리즘 양상 연구 (A Study on Transnationalism in Korean Poetry Literature in Australi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12
29P 미리보기
호주한인 시문학의 트랜스내셔널리즘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48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강회진

    초록

    그동안 진행된 해외 한인문학을 다룬 연구의 주요 패러다임은 ‘국가’ 혹은 ‘민족’ ‘디아스포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의 틀에 맞춰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디아스포라는 주로 분산, 공동체, 집단을 의미하며 모국이나 국가에 매우 강하게 얽매여 있다. 디아스포라는 반드시 ‘고향’으로 돌아가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이에 디아스포라 개념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타자화하는 측면이 강하다. 그러므로 자발적 이주를 하였던 사람들의 주체성을 몰각하고, 해외문학을 철저히 한국-서울 중심의 주변문학으로 전락시키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트랜스내셔널리즘에서는 모국과의 단절은 일어나지 않으며, 모국이라는 곳에 얽매이지 않는다. 다시 말해 두 개 이상의 국가에서 평행적 삶을 유지한다. 즉, 거주지와 모국의 영향을 함께 받는다. 그러므로 ‘트랜스내셔널’은 “기존의 ‘디아스포라’, ‘다문화주의’ 등에서 충족되지 못한 어떤 부분에 대한 기대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근대의 민족국가적인 인식 틀로는 해석이나 예측이 불가능한 객관적 상황이나 주관적 인식”을 읽어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일테면 일국 중심의 국수적 정체성을 해체할 수 있다는 점, 자발적 이주민들의 삶이나 의지를 긍정하거나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서 트랜스내셔널 관점은 의의를 지닌다. 민족국가의 완강한 경계선이 무너지고, 초국가적 이동과 이주가 일상화되어 가고 있는 현 시대에 해외 한인 문학을 접근하는 방식 역시 좀 더 확장되어야 한다. 다양한 조건과 맥락과 형태와 기원을 갖는 해외 한인 문학을 ‘디아스포라 문학’이라는 하나의 범주로 구분 짓고자 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는 호주한인 시문학을 읽어내는 방법 중 하나로 화자의 트랜스내셔널한 특성과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전유와 트랜스내셔널이다. 작품 속에서 거주 공간의 자연풍경이나 인물들은 낭만적 이상향으로서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호주 한인 대부분이 자발적인 이주 주체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주 후 문화적 혼종지에서 주변과 현실, 이상 사이에서 갈등을 겪기 마련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무의미한 “공간”을 특별한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일종의 ‘영토화’ 혹은 ‘공간의 전유’가 이루어진다. 이때 낯선 공간을 낭만적이거나 평화로운 곳, 때로는 과도한 신비로움을 지닌 장소로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간의 환상성과 트랜스내셔널이다. 낭만적 작품은 종종 노동현실이나 고통스러운 현재의 상황이나 공간을 은폐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살펴본 작품들은 이러한 한계를 뛰어넘는다. 일테면 이채롭고 이국적 공간에 숨어있는 현실의 고통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이미지로 그려내고 있다. 그럼에도 그것은 환상성을 품고 있는데 이는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하는 현실로서의 개인의식으로 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의식의 발현 장소와 트랜스내셔널이다. 작품 속 화자는 고통의 ‘공간’에서 새로운 세계로의 ‘장소’를 꿈꾼다. 이때 ‘장소’는 외부로의 발산적 의식의 어떠한 이미지라기 보다는 자신을 지키기 위한 내부로의 응집의 의미를 지닌 이미지로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main paradigm of research dealing with overseas Korean literature so far is that it has been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of 'national' or 'ethnicity', 'diaspora', and 'identity as a Korean'. As is well known, the diaspora mainly refers to decentralization, community, and group and is very strongly bound to one's home country or country. The diaspora refers to a state in which one must return to 'home'. Therefore, the concept of the diaspora has a strong aspect of otherizing the lives of the people currently residing in the countr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mit the error of disregarding the subjectivity of those who migrated voluntarily and completely degenerating overseas literature into the surrounding literature centered on Korea-Seoul. On the other hand, in transnationalism, there is no disconnection from the mother country and is not bound by the place of the mother country. In other words, it maintains a parallel life in two or more countries. In other words, it is influenced by the place of residence and the mother country together. Therefore, 'transnational' can "express expectations for a part that is not satisfied in the existing 'diaspora' and 'multiculturalism'" and provides clues to read "objective situations or subjective perceptions that cannot be interpreted or predicted with the modern national recognition framework." For example, the transnational perspective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dismantle its national identity centered on a country, and that it can affirm the lives and will of voluntary migrants or look at them as they are. In the present era when the rigid boundaries of the nation-state are broken, and transnational movement and migration are becoming commonplace, the way to approach overseas Korean literature should also be expanded. It is unreasonable to try to divide overseas Korean literature with various conditions, contexts, forms, and origins into a single category called "Diaspora literatu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transnational characteristics of speakers and their meanings as one of the methods of reading Australian poetry.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appropriation of space and transnational. In the work, the natural scenery and characters of the living space are depicted as romantic ideals. Although most of the Koreans in Australia were voluntary relocation subjects, they tend to have conflicts between their surroundings, reality, and ideals in the cultural hybrid after migration. To overcome this, a kind of 'territorialization' or 'exclusion of space' is made to make an insignificant "space" into a special "place."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unfamiliar space is described as a romantic or peaceful place, sometimes a place with excessive mystery. Second, it is the illusion of space and transnational. Romantic works often conceal labor reality or painful present conditions or spaces. However, the works examined in this study overcome these limitations. For example, it is depicted with an image that directly reveals the pain of reality hidden in an unusual and exotic space. Nevertheless, it contains an illusion, which can be read as a personal consciousness as a reality to form an identity. Finally, it is the place of expression of self-consciousness and the transnational. The speaker in the work dreams of a 'place' from the 'space' of pain to a new world.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place' is revealed as an image that has the meaning of internal cohesion to protect oneself rather than any image of divergent consciousness to the outs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