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과 세계의 상상 ―정지용, 임화, 김기림, 신석정의 시를 중심으로 ('Map' Representation and Imagination of the Worldin the 1930s' Poetr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2.05
25P 미리보기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과 세계의 상상 ―정지용, 임화, 김기림, 신석정의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43호 / 163 ~ 187페이지
    · 저자명 : 강호정

    초록

    이 논문은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의 표상을 통하여 근대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의 표현 방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지용과 임화, 김기림, 신석정의 작품 중에서 ‘지도’, ‘해도’, ‘바다’ 등 근대 혹은 세계에 대한 상상으로 지리적 표상이 나타난 시를 대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 몇 가지를 목표로 한다. 하나는 문학지리학의 범주의 확장이고, 다른 하나는 1930년대에 ‘지도’의 표상이 갖는 문학적 상상력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해석의 논란이 많은 정지용의 시 <바다2>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바다2>의 대상이 실제의 바다가 아니라 지리적 표상으로서 ‘지구의’를 대상으로 했다는 것을 밝히기 위함이다,1930년대는 근대 도시의 출현 및 유학생의 증가와 그에 따른 서구 문물의 도입 등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끼칠만한 변화가 있던 시기이다. 아울러 시에서 구체적인 장소를 호명하는 것은 물론, ‘지도’, ‘해도’, ‘지구’, ‘바다’ 등 지리적 표상에 대한 시들이 많이 등장한다. 근대 혹은 세계에 대한 상상으로 지리적 표상이 많이 이용되었다는 것이다. 지리적 표상으로서의 지도는 세계상을 재현하는 場이기도 하지만, 시인의 내면세계의 지형도와 같은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도에 대한 표상을 통하여 근대를 인식하는 방식의 분기점을 확인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정지용 시에 나타난 근대/세계에 대한 인식이 다소 관념적이고 초월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면, 임화나 김기림의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은 좀 더 적극적으로 근대에 개입하려는 인식, 세계의 일원으로서 스스로를 자리매김하려는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바꿔 말하면 지용이 ‘주어진 근대’에 대한 대처 방식에 고민하고 있었다면, 임화나 김기림은 ‘스스로 만들어 가는 근대’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the expression ways of the modern literary imagination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map' presented at the 1930s’ poetry. The subjects of study are the poems among the works of Lim Hwa, Jeong Jiyong, Kim Kirim, and Shin Seokjeong in which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such as 'map', 'sea map', and 'sea' are presented as the imaginations of the modern period and world. Specifically, some of the goals are as the followings: One is an extension of the categories of literary geography, and the oth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literary imagination which the symbol of 'map' has in the 1930s. In addition, a new interpretation of Jeong Jiyong’s controversial poem <Sea 2> will be attempted. It is to clarify that the subject of <Sea 2> was actual geo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sea, but was targeted for 'a terrestrial globe.'The 1930s were the time when the changes having impacts on life such as the advent of the modern city, an increase of students, and, accordingly,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had occurred throughout all the spheres of everyday life. In addition,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including 'map', 'sea map', 'Earth', and 'sea' as well as a list of names of specific places had appeared in a lot of poems. A lot of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were used for the imagination of the modern period or world. Map as the geographical world was not only the square for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ld’s image, but also the topography of the poet’s inner world. It was attempted in this paper to determine the bifurcation point of the manners recognizing the modern period through this representation of map.
    In conclusion, while the awareness of the modern period and world in Jeong Jiyong’s poetry showed somewhat transcendental and notional awareness, and demonstrate the idea, the map representations appeared in Lim Hwa or Kim Kirim’s Poetry demonstrate the perception to intervene more actively in the modern period and to position themselves as a part of the worl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Jiyong struggled to be aware of the way to deal with 'the given modern period,' whereas Lim Hwa or Kim Kirim struggled about the modern period which they would make with their own effo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