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시인의 전통 한시 국역 (Poets' Translation on Traditional Hansi in the 20th Centu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8.10
27P 미리보기
20세기 시인의 전통 한시 국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51권 / 59 ~ 85페이지
    · 저자명 : 정소연

    초록

    본고는 20세기 시인들의 전통 한시 번역 양상을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정리하고 그 의미를 도출한 것으로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형시인 한시의 국역이 1940년대까지는 전통 국어시가의 특정 율격, 곧 음보율이나 분연체 등을 추구하다가 50년대 이후에는 당대 자유시와 크게 다르지 않는 형식으로 국역하여 도착어인 국어와 국문시가 중심의 경향을 보인다.
    둘째, 1960년대 이전까지는 이별과 그리움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여성 한시를 적극적으로 국역하였다. 이는 일제강점기와 전쟁 후의 상황이라는 시대와 정서적으로 밀착되는 경향으로써 시대 반영과 치유의 의미를 갖는다.
    셋째, 한시의 대중화라는 방향성을 보이는데, 절구나 율시를 더 작게 잘라 여러 연으로 내용을 나누고, 구술적 표현으로 쉽고 친근하게 하며 작가 소개나 구절 풀이 등 당대 대중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자 하였다. 과거 특정 사대부 남성이 즐기는 고급문학으로서의 이미지를 벗고 위항인, 상하 여성, 무명씨, 승려 등 다양한 사람들의 한시를 적극 국역함으로써 한시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학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다.
    넷째, 해외 당대시를 번역하는 경향 속에서 전통 한시를 국역함으로써 중세 동아시아 문명권의 한시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환기하고 민족 문학사 재인식의 기회를 마련하며 근대시의 한 자리에 한시의 자리를 마련하고 수용하는 의미를 갖는다.
    다섯째, 20세기 한시 국역 양상을 시기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1930년대까지는 한시의 전통 국어시가화, 40년대는 최대한 일대일 대응이 되는 번역시로서의 양상을 보이고, 50년대에서 60년대는 시인의 창작 자유시에 가까운 양상을 보이며 70년대 이후에는 자유시형이면서도 번역시라는 특징 역시 두드러지고 대중들에게 널리 소개하는 의도가 더 강화된다.
    여섯째, 대상 한시와 관련하여 1910년대부터 20세기 내내 중국 한시, 특히 특정 시인 중심의 당시(唐詩)가 적극적으로 국역된다. 한국 한시는 1930년대부터 국역되는데, 각 시대별로 고루 선정될 뿐만 아니라 상하남녀의 다양한 사람들의 한시가 국역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로써 중세 시문학의 중심이었던 한시를 한문에서 국문으로, 정형시에서 자유시로, 사대부 남성 중심에서 대중 향유의 시문학으로 수용함으로써 한시의 근대시화를 이루고자 한 시인들의 노력을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organizes the overall results of accepting aspects of traditional hansi by 20th poets and derives its mea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rhyme of traditional Korean poetry and songs which include foot meter, division into several stanzas and so on is pursued by translating traditional Chinese hansi into Korean until the 1940s. However, after the 1950s, hansi was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in the style tha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free verse's.
    Second, before the 1960s, the main contents of poetry translated into Korean were farewell and yearning. Also, hansi written by female writers was actively translated in those days. It shows that translated poetry was emotionally related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It means that Korean language translation reflects its era and the poetry translated into Korean can heal people's emotion.
    Third, the translated poetry of hansi shows the directivity of the popularization of hansi. The contents of quatrain and regulated verses were divided into several stanzas. Its expression of orality could be easy and familiar to the public. Also, writer introduction, as well as explaining phrases, made people understand poetry easily. Originally, hansi had been the exclusive property for noblemen. However, poets tried to accept hansi as literature which everyone can enjoy by translating hansi of various authors: high-class and low-class women, the anonymous, Buddhist monk, and etc.
    Fourth, by translating into Korean, it evokes pride in the Chinese culture of the medieval East Asian cultural sphere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tendency of translating contemporary poetry from abroad into Korean. This means setting up a place for hansi in the Korean modern poetry literature and accommodating it.
    Fifth,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translation in 20th can be classified into periods. hansi was translated into traditional Korean poetry and songs until the 1930s and into translated poetry as one-to-one as possible until the 1940s. Translated poetry was closer to a free verse that poets created from the 1950s to 1960s. In addition, it stood out as the characteristic of not only free verse but also translated poetry after the 1970s. In this period, the aim of introducing the translated poetry to the public strengthened.
    Sixth, Dang dynasty's poetry, especially certain poets wrote, was translated actively in relation to hansi being targeted. After the 1930s, Korean traditional hansi started to be translated evenly chosen regardless of its author's rank or era. As a result, we can see the crucial effort of poets to make hansi into Korean modern poetry, namely modernization of hansi by accepting hansi from the Chinese classics to the Korean language, from fixed verse to free verse and from gentry male-oriented to popular poetic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