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야기 시’의 전통과 시조문학 교육 (The Tradition of ‘Narrative Poem’ and Sijo Literature Edu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01
22P 미리보기
‘이야기 시’의 전통과 시조문학 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40호 / 9 ~ 30페이지
    · 저자명 : 김용기

    초록

    이 글은 우리 시가문학에 나타나는 이야기적 속성이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그래서 본고의 주 논의 대상인 시조 역시 ‘이야기 시’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을 세워 보았다.
    이러한 가설은 시조 문학교육 방식의 변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시험을 위한 시조 교육이 아니라, 시조 화자가 전달하려는 메시지에 더욱 관심을 가지는 교육이 가능해 지기 때문이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시조 교수·학습에 대한 자기 성찰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운문인 시조를 ‘이야기’라고 하는 산문적 방식을 도입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고 시조 교육의 질적 변환을 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현대시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야기 시(narrative poem)’라는 개념을 시조 교육에 도입하고자 한다. 다만 현대시에서 말하는 ‘이야기 시’의 특징은 시조에 그대로 부합하지는 않기에, 시조교육에 필요한 세 가지 유형으로 새롭게 범주화 하였다.
    첫째는 시상전개가 ‘이야기’로 전개되거나, 그러한 속성을 가지는 경우이다. 이러한 유형에는 사설시조가 많이 나타나지만, 때로는 평시조도 이러한 형식을 취한다. 본고에서는 사설시조를 예로 들어 실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둘째는 ‘화자-메시지-청자’의 담론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방식은 애정이나 그리움을 드러내는 작품들에서 많이 발견된다. 마지막으로 셋째는 시조 본문과는 별도로, 이에 어울리는 일화 내지는 설화를 동반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유형은 완전히 독립되기보다는 둘째 유형과 중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점에서 대상 작품이나 수업 장면의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이야기 시’의 성격을 활용한 시조 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소외되어 가고 있는 시조 교육에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다. 주의할 것은, 시조의 ‘이야기 시’ 속성에서 주가 되는 것은 ‘시조’ 그 자체이고, ‘이야기’는 보조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그 ‘이야기’적 속성이 화자의 정서와 메시지, 주제의식과 매우 밀접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런 점에서 시조의 ‘이야기 시’ 속성은, 스토리를 가진 시조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ed at the premise that the narrative attribute of Korean classic poetry has a long tradition. The hypothesis that Sijo has an attribute of ‘the narrative poem’ has suggested as an object of discussion in this study.
    This hypothesis can be used affectively in the change of teaching Sijo literature. Because this is made possible to teach the message what the poetic narrator intends to convey, breaking from the education for tests. It starts from self examina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Sijo in school education field. This writer brought the concept of ‘story’ and adopted the way of prose to enhance learner’s interest and qualitative change of Sijo education. For this, the concept of ‘narrative poem’ in modern poetry was adopted in Sijo education. Because the feature of narrative poem in modern poetry does not correspond with Sijo perfectly, it was newl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n Sijo education.
    First type is that the progress of poetic sentiment develops into ‘story’ or the poem has a narrative attribute. Saseolsijo(辭說時調) has this attribute mostly but also Pyeongsijo(平時調) has this attribute sometimes. In this study, the realistic education method to teach Saseolsijo was suggested.
    Second type is that poem has a structure of discourse like ‘speaker-message -listener’. This type has been found in works showing affection or longing. The last type is that poem is accompanied by a story or folk tales independently of the body in poem. Sometimes this type can be overlapped with second type. Thus, it needs to be used flexibly according to works or situations of teaching class.
    Like this, Sijo education utilizing ‘narrative poem’ can activate the Sijo education out of the picture in schoo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ain attribute of ‘narrative poem’ is Sijo and ‘Story’ is auxiliary role.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narrative attribute affects on speaker’s emotion, message and its theme very strongly. Therefore we need to approach Sijo on this viewpoint of that it has a story and ‘narrative poem’ attribu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