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웬과 전봉건의 전쟁시 비교 고찰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Owen and Jeon Bong-Geon's War Poet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0.08
26P 미리보기
오웬과 전봉건의 전쟁시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55호 / 41 ~ 66페이지
    · 저자명 : 이승규

    초록

    전쟁시는 전쟁을 주된 내용으로 삼는 시로, 현대에 들어와서야 전쟁의 실체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전쟁시가 출현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영국의 시인 윌프레드 오웬(Wilfred Owen)은 전쟁의 참상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와 더불어 전쟁에 대한 의식적인 부정을 표현하였다. 6․25전쟁기 남북한의 전쟁시가 전쟁을 독려하고 종국에는 각 진영의 이데올로기와 체제를 옹호하는 차원에 머물렀다면, 오웬과 전봉건의 시는 직접적인 전쟁 체험을 통해 현장성을 살리고 낡은 정치의식을 극복하면서 전쟁에 반대하는 태도를 보였다. 전봉건은 전쟁에 군인으로 복무하면서 전장의 상황을 묘사하는 시를 썼다는 점에서 오웬의 시와 공통점을 지니며, 기법적으로도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상통한다. 다만 전봉건의 전쟁시는 전쟁의 참상을 사실대로 표현하는 방법만을 사용하지 않고, 외적 상황에 대한 시적 화자의 내적 반응으로서의, 감정을 거의 제거한 독백적 진술이나 상황과의 모순적인 대응 태도, 대상과 일정한 거리를 두는 묘사를 통해, 비정하고 폭압적인 전쟁 현장과 위태로운 개인의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그리하여 전봉건의 시가 전쟁에 대한 적극적인 부정성을 띠지 않지만, 내면적 현실을 현장성을 살려 실감 있게 반영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전쟁에 반대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영어초록

    War poetry deal with the War mainly and in the modern times, it appeared to express facts of war. Wilfred Owen, English poet, participated in the first war and shaped his experience into war poetry. His war poetry has the description of the horrors of war and the negative cognition of war. In his poetry, he manifests the proposition that “The best war poem is the most antiwar poetry.” When the 1950's Korean War, most of the war poems published in North Korea were that extolled the hero of war and aroused hatred to encourage war. For these poems have a strong finality, they describe the battle field as a reality and are prominent for an idealogical. As compare with them, South Korea's poems display the individual feeling or humanity. But as Owen's poems, it is hard to seek war poems which have a reality or oppose to war by overcoming the old political awareness. When the war broke out in Korea, Jeon Bon Geon was in the service and wrote the poems described the situation of the war and which is similar to Owen and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Modernism for technic. Jeon Bong Geong imaged the oppression of war and dangerous individual by the inner monologue, the abnormal attitude and the description which distance from object rather than expressed the horrors of war realistically. Although his poems did not have the active denial, he make the inner shock and was against to the war by reflecting the reality immatur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