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벼랑’ 관련 어휘의 通時的 考察 (A Diachronic Study of ‘Precipice’(벼랑)-Related Wor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7.06
44P 미리보기
‘벼랑’ 관련 어휘의 通時的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26권 / 287 ~ 330페이지
    · 저자명 : 조항범

    초록

    본고는 15세기 이래 존재한 ‘벼랑’ 관련 어휘를 대상으로 그 어원과 변화를 고찰하고, 그 시기별 존재 양상을 살피는 데 초점을 두었다. ‘벼랑’ 관련 어휘로 ‘비레’, ‘별ㅎ, 벼랑, 벼락’, ‘벼’, ‘애’, ‘낭, 낭러지, 낭러지기’ 등의 다섯 계열을 들었다.
    ‘비레’는 ‘*빌’에 접미사 ‘-에’가 결합된 어형으로 추정되나 분명한 것은 아니다. ‘비러, 비례, 비’ 등으로 변하기도 하며, 15세기 이래 19세기 문헌까지 보인다. ‘별ㅎ’ 또한 어원이 분명하지 않다. ‘별ㅎ’의 흔적이 ‘벼랑(별+-앙)’과 ‘벼락(별+-악)’에 남아 있다. ‘벼랑’과 ‘벼락’은 19세기 문헌에 처음 보인다. ‘벼’는 ‘별’과 형태상 관련될 듯하나 그 어원이 분명하지 않다. ‘벼르>벼로’를 거쳐 지금 ‘벼루’로 남아 있으며, ‘水崖’라는 특수한 의미를 띠고 있다. ‘애’는 한자어 ‘砯崖’이다. 중세국어 이래 근대국어까지도 상당한 세력을 갖고 있었으나 지금은 일부 지명 속에서나 발견될 정도로 세력을 잃었다. ‘빙애’의 쇠퇴는 ‘벼랑’의 등장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낭’은 17세기 문헌에 처음 보이는데 그 어원은 알기 어렵다. ‘낭러지’는 19세기 말에 처음 보이며, ‘낭’과 ‘러기’가 결합된 ‘낭러지기’에서 ‘-기’가 생략된 어형으로 추정된다.
    15세기에는 ‘비레, 별ㅎ, 벼, 애’라는 네 계열의 단어들이 존재했다. 이 가운데 한자어 ‘애’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16세기에서도 같은 양상을 띠었다. 17세기에는 중세국어 이래의 ‘비레, 빙애, 벼로’ 등과 더불어 ‘낭’이라는 단어가 쓰였다. 18세기에는 17세기의 단어들이 거의 그대로 쓰였으며, 19세기에는 이들에 ‘벼랑, 벼락’과 ‘낭러지’가 추가되었다. ‘벼랑’과 ‘낭러지’가 등장하면서 기존 단어들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20세기 전반기에는 ‘벼루, 벼랑, 낭, 낭떠러지’를 비롯하여 ‘낭러지기’가 쓰이다가 이후에는 ‘벼루, 벼랑, 낭떠러지’로 관련 어휘가 줄어들었다. ‘벼루’가 ‘水崖’를 특별히 지시하므로 ‘벼랑’ 관련 어휘는 ‘벼랑’과 ‘낭떠러지’로 대별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s various existing ‘precipice’(벼랑)-related words, which have been found since the 15th century, and traces the etymology and form changes in different times. The ‘precipice’(벼랑)-related words come into 5 categories; ‘비레’, ‘별ㅎ, 벼랑, 벼락’, ‘벼’, ‘애’, and ‘낭, 낭러지, 낭러지기.’ The ‘비레’ is assumed to be formed by putting ‘*빌’ with a suffix ‘-에,’ but it is not certain. The word underwent changes in forms of ‘비러, 비례, and 비’ in the documents from the 15th to the 19th century. Also, the ‘별ㅎ’ does not have a certain etymology. The trace of ‘별ㅎ’ remained in ‘벼랑(별+-앙)’ and ‘벼락(별+-악)’. The ‘벼랑’ and ‘벼락’ appeared in documents of the 19th century for the first time. The ‘벼’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별’ in shapes, but its origin is not certain. The form has changed as ‘벼르>벼로’ and it is ‘벼루’ at the present time, which has a unique meaning, ‘水崖’(a cliff by water). The ‘애’ is ‘砯崖’ in Chinese letter. The word was prevailing in the Korean language from Middle to modern age, but it has declined to be found in some place-names nowadays. The cause of ‘빙애’ decline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appearance of ‘벼랑’. The ‘낭’ was first seen in documents of the 17th century, but it is difficult to trace the origin. The ‘낭러지’ was first seen at the end of the 19the century, and it is assumed that the combination ‘낭’ and ‘러기’ made the form of ‘낭러지기’, and then ‘-기’ was deleted from the word form.
    In the 15th century, ‘precipice’(벼랑)-related words come in 4 categories; ‘비레, 별ㅎ, 벼 and 애’. Among them, the Chinese letter form of ‘애’ was more frequent than the others. There was a same tendency in the 16th century. In the 17th century, the ‘낭’ was used along with ‘비레, 빙애 and 벼로’ since the middle age. In the 18th century, most of the 17th century words were still used, and some words like ‘벼랑, 벼락’ and ‘낭러지’ were added to the existing words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벼랑’ and the ‘낭러지’ appeared, the existing words had declined very much. In the early 20th century, ‘벼루, 벼랑, 낭, 낭떠러지’ along with ‘낭러지기’ were still used, but the related words has decreased and remained in the form of ‘벼루, 벼랑, 낭떠러지’. Since the ‘벼루’ means ‘水崖’ especially, the related words are roughly classified into two prominent ‘벼랑’ and ‘낭떠러지’.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