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종삼 시 「왕십리」에 나타난 주체 의식 (A Study on the Sense of Sovereignty Represented in Kim Jong-sam’s Poem 「Wangsimni」 Closel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0.05
30P 미리보기
김종삼 시 「왕십리」에 나타난 주체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81호 / 37 ~ 66페이지
    · 저자명 : 이은실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김종삼의 시 「왕십리」에 나타난 주체 의식과 타자와의 관계성을 밝혀, 김종삼 초기시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 텍스트는 그의 시가 견지하고 있는 시공간의 특수성이 구현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의 초기 시세계를 형성하는 근본 기저를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고는 이 시가 독특한 미학적 특질을 내장하고 있다는 사실과, 단일 텍스트로 조명된 바가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자세히 읽기를 시도했다. 나아가 이러한 추적 과정을 통해 김종삼 초기시의 방향성을 밝히는 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참조점으로 시인의 산문 텍스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할 때 ‘스크린’, ‘오버랩’, ‘페이드아웃’ 등의 영화적 기법을 적용하여 시의 이행 과정 및 의미를 해석해 보았다. 시 「왕십리」에는 시적 ‘환상’뿐만 아니라, ‘환상’ 이후 비약과 고통의 틀을 상실하는 것에 대한 시적 주체의 두려움이 담겨 있다. 또한 시와 ‘환상’, ‘공백’ 그리고 문학적 진실에 관해 논의될 수 있는 일련의 상상이 시 「왕십리」라는 시공간의 스크린에서 상연되고 있다. 이처럼 시 「왕십리」는 새로운 윤리적 지평을 여는 시적 주체의 등장을 알리고 있다. 나아가 시적 주체의 이러한 행위야말로 도착이 영원히 유예되는 ‘왕십리’에서 (불)가능성을 타진해볼 수 있는 유일한 도착의 윤리임을 구현한다. 이는 과거/현재, 가시/비가시, 존재/비존재의 세계를 시라는 텍스트로 구현하고자 했던 김종삼의 ‘미학주의’를 증명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imed at figuring out a sense of sovereignty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shown in Kim Jong-sam’s poem titled 「Wangsimni」 to take a look at meanings of Kim’s early poems. The particularity of space and time to which the poet has held fast is materialized in this text which helps people look at the fundamental basis forming a world of his early poems. In consequence, for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read this poem closely focusing on a fact that the poem has unique aesthetic qualities within and an aspect that the existing studies haven’t spotlighted it as a single text.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clarifying the direction of Kim’s early poems through such a tracking process. To realize it, texts of Kim’s proses will be actively used as a reference point of the poet. For attempting to analyze the structural aspect, cinematic techniques, such as ‘screen,’ ‘overlap’ and ‘fade-out,’ shall be applied to interpret transition processes and meanings of poems. It is because 「Wangsimni」 contains not only poetic ‘fantasy’ but also fears of poetic subjects about that they can lose their leaps and the frame of pain after ‘fantasy.’ Like this, poems, fantasy and all imaginations which can be discussed about the literary truth are presented on the screen of space which is the poem titled 「Wangsimni」. 「Wangsimni」 probably is a prelude informing about appearance of poetic subjects of an action to open a new ethical horizon of our preview. Such an action of poetic subjects probably is the only ethics of arrival which can sound the (im)possibility at 「Wangsimni」 where arrival is eternally suspended. It proves ‘aestheticism’ of Kim Jong-sam, a poet who wanted to materialize a world of the past/present, future, visibility/invisibility, and existence/non-exis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