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편 ― 시와 기도와 찬미의 성전 (The Psalters are the Tem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09
30P 미리보기
시편 ― 시와 기도와 찬미의 성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202호 / 65 ~ 94페이지
    · 저자명 : 김창주

    초록

    시편(詩篇)은 ‘시의 묶음’이란 뜻이며, 기독교의 프살모스는 시의 한 형식인 미즈모르 곧 ‘악기로 연주하는 노래’를 가리키고, 유대교의 테힐림은 ‘찬양’이다. 시편에 다양한 장르가 포함되었음에도 유대교가 ‘찬양의 책’이라고 칭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시편 신학의 기본은 하나님에 대한 찬미 때문이며, 또한 찬양은 사람만 누리는 독특한 존재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하나님과 찬양과 신 인식은 ‘호흡 있는 자’의 가장 중요하고도 유일한 가치이다. 따라서 ‘찬양의 책’으로 시 편을 지칭하는 것은 정당하다. 아타나시우스는 시편 47에 주목한다. 여기에 ‘찬송하라’가 다섯 차례나 거듭된다(6-7). 이처럼 반복되는 찬양은 시 성전을 지나면서 고조되어 시편 146-150에서 최고조에 이른다. 안식 일이 ‘시간의 성전’이라면, 예루살렘 성전은 땅 위에 세워진 ‘공간의 성전’이며, 시편은 시와 노래와 찬미로 세워진 ‘시의 성전’이자 “영적 성전”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Book of Psalms as the Temple of poem, i.e., prayer, song, and praise during the period where Jews lived in exile away from Jerusalem. After the destruction of Solomon’s Temple, Israel (aka. the Judahites) were deeply shocked and panicked. At that time the king was killed, the kingdom was defeated and lost, people were scattered and became members of the Diaspora. Even worse, there was no place to worship or pray. They could not but miss the Temple that was destroyed by Nebuchadnezzar. The solution to their dilemma was unexpectedly simple.
    The solution was to build a New Temple that was different from the former. The place and appearance and content was totally different. For instance, it should be built in the Diaspora instead of in Jerusalem, and it should be letters and writings instead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Soon the fragments of the pentateuch were collected and redacted into its present form that we now read. The five books of Moses partly began to take place at the Temple. Later the Book of Psalms was colle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people of Israel made use of various songs; to lament, to pray, to grieve, to rejoice and finally to praise Yahweh. Gradually, the Psalter was considered as the Temple and even took root in significant faithful texts.
    The idea of ‘the Temple of Psalms’ came from Bernd Janowski whose essay is “Ein Tempel aus Worten: Zur theologischen Architektur des Psalters.” As a student of the Book of Psalm, I have wondered how to present the Book of Psalms as a whole to readers who love to recite the psalter. For Jesus, the Temple was the house of prayer (Mk 11:17). For the pious Christian, the Book of Psalms could be the Temple of Psalms whenever and wherever s/he needs to lament, pray, thank, and praise. We could say the Sabbath is the Temple of Time (Heschel), the Temple of Jerusalem is the Temple of Space, the Book of Psalms is the Temple of Psal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