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천 지역 시ㆍ공간 지명의 구별 양상 (Exploring the Differentiating Factors of Bucheon Spatial/Temporal Toponym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12
32P 미리보기
부천 지역 시ㆍ공간 지명의 구별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39권 / 438 ~ 469페이지
    · 저자명 : 허인영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지지자료』(1911)에 수록된 부천의 지명 가운데 공간 및 시간과 관련된 전부 요소, 즉 위계 지명을 검토하여 지명들이 어떤 방식으로 구별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공간 위계 지명에서는 ‘上下, 前後, 內外, 深淺, 遠近, 大小, 長短’과 같은 구별이 나타났는데, 이 가운데 上下의 구별은 인접한 하천의 흐름이 상류에 가까우면 上, 하류에 가까우면 下를 사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말뫼[遠美山]는 ‘멀-[遠]’이 아니라 [大]를 의미하는 'ᄆᆞᆯ[馬]’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다음으로 시간 위계 지명에서는 ‘新舊, 四季, 朝夕’과 같은 구별이 나타났는데, 공간보다는 빈도가 낮았다. 이는 시간의 흐름이 공간보다 직관적으로 인식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공간 및 시간 위계 지명에서는 변별적인 차이점을 지니는 요소에 어느 한쪽의 위계 지명이 붙는 경향이 있었다.
    즉, 부천의 위계 지명에서 강하게 드러나는 구별 기준은 유표성으로 보인다. 이는 부천 외의 다른 지역의 지명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앞으로는 여타 지역, 나아가 범언어적인 측면에서 위계 지명의 구별에 대해 탐구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aim to discern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hierarchies within the toponyms of Bucheon as listed in the Chosŏn Geographical Material (1911), focusing on spatial and temporal elements related to hierarchy. Within spatial hierarchical toponyms, distinctions such as ‘up-down, front-back, inside-outside, depth, proximity, size, and length’ were identified. Notably, the distinction of ‘up-down’ prominently revealed a tendency where the usage of ‘up’ was associated with areas closer to the upper stream of adjacent rivers and ‘down’ with areas closer to the lower stream. Regarding Malmwe[遠美山], it was plausible to associate it not with ‘far-[遠]’ but rather with ‘ᄆᆞᆯ[馬]’ meaning [大]. In the temporal hierarchical toponyms, distinctions like ‘new-old, four seasons, morning-evening’ emerged, albeit less frequently than spatial distinctions.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the flow of time is less visually perceptible than space, hence appearing more subtle in toponyms. Overall, within spatial and temporal hierarchical toponyms, there was a tendency to assign hierarchical labels to elements possessing discernible differences. Ultimately, the distinguishing criteria prominently manifest within Bucheon's hierarchical toponyms appear to be ubiquity, which could potentially apply not only to Bucheon but also to other toponyms.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to explore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hierarchical toponyms in other regions and, furthermore, from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