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여성잡지에서의 한시 수록 양상과 의미-노래의 향유자에서 시의 독자로서의 여성 (Hansi’ Aspects and Meaning of Modern Women’s Magazine: a Woman from Song Enjoyer to Poetry Reader)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2.06
39P 미리보기
근대 여성잡지에서의 한시 수록 양상과 의미-노래의 향유자에서 시의 독자로서의 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99호 / 45 ~ 83페이지
    · 저자명 : 정소연

    초록

    본고는 1910년대에서 1940년대까지 출판된 여성잡지 35종을 대상으로 한시가 얼마나 수록되고 어떤 맥락에서 소개되며 어떤 방식으로 향유되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근대 이전에 구술문화의 향유자인 여성이 근대 이후 독자로서 자리매김하는 과정에서 그간 남성 중심 향유가 이루어진 한시 갈래가 근대 여성 독자에게는 어떤 존재 양상을 띠는지 살펴보기 위함이다. 또한 근대 이후 한시는 자유시에 비해 그 입지가 약화되지만 여성잡지에서는 어떤 위상으로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35종의 여성잡지 중에서 11종의 여성잡지에서 270여 수의 한시가 수록되었고, 주로 『신여성』, 『이화』, 『신가정』, 『여성』, 『부인』 등을 중심으로 1930년대에 83%가 집중되어 있었다. 시대별로는 근대 한시에 비해 전통 한시가 약 89% 차지하여 근대에 한시의 비중이 약화되고 고전문학으로서의 한시의 위상을 보여준다. 전통 한시 중 나라별로는 중국 한시보다 한국 한시가 약 68% 차지하여 민족문학에 대한 근대의 적극적 인식을 보여준다. 한국 전통 한시 중 성별로는 남성 시인의 한시에 비해 여성 시인의 한시가 약 67%를 차지하여 근대에 확장된 시의 향유층으로서의 여성의 참여를 보여준다.
    시기별로 보면, 1910년대 여성 잡지에는 한시가 나오지 않는다. 1920년대 여성 잡지는 근대 이전 여성의 한시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나 근대 한시 비중도 상당하고, 번역 없이 한시 원문만 제시하는 경우도 많아 한글 문해층보다는 지식인층을 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보인다. 1930년대 여성 잡지는 압도적으로 많은 한시가 수록되면서 특히 근대 이전 여성의 한시를 적극 소개하며, 한시의 번역과 설명을 수반하여 대중 여성독자로 향유층이 넓어진다. 절기나 장소 등 한시 속의 소재와 관련하여 지식과 정보, 교양으로서 한시‘에 대해서’ 접근하는 시각도 보이지만, 한시‘를’ 즐기고 서정적 세계를 음미하는 경향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17세기 이전의 여성 한시에 주목하기는 하지만 문학사적 관점에서 여성한시사를 구성하는 일련의 글들이 나타나고, 서정시로서의 한시와 여성을 긴밀하게 인식하는 시각을 보인다. 1940년대는 1920년대보다도 적은 수의 한시가 수록되지만 대부분 서정시로서의 한시를 감상하는 경향이 강하다.
    1910〜1940년대 여성잡지에서 한시는 어떤 고전 국어시가보다 더 많이 수록되어 근대 여성 독자에게 시(詩)로서의 고전시가는 한시가 중심이 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서정시로서 한시를 감상하며 근대에 시 독자로서 서정시의 자양분을 한시를 통해서도 수용했음을 알 수 있다. 적극적으로 소개되는 여성 한시를 통해 남성 중심의 한시사에서 소외되었던 여성 향유층이 한시 향유자로서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근대의 면모를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pecific aspects of how many hansi works are included, in what context, and in what way they are enjoyed, targeting 35 women’s magazines published from the 1910s to the 1940s. This is to examine the existence of male-centered hansi enjoyment to modern female reader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women as readers, who had enjoyed oral culture before modern times. In addition, since modern times, hansi genre has weakened its position compared to modern Korean poetry, but it was intended to examine its status in women’s magazines.
    As a result of the study, about 270 hansi works were included in 11 women’s magazines, mainly in 『Sinyeosung』, 『Ewha』, 『Singajeong』, 『Yeosung』, 『Buin』 out of 35 women’s magazines, and 83% were concentrated in the 1930s. By era, traditional hansi works accounts for about 89% compared to modern hansi, weakening the proportion of hansi in modern times and showing the status of hansi as classical literature. By country among traditional hansi works, Korean hansi works accounted for about 68%, showing active perception of national literature. Among Korean traditional hansi, female poets’ poems accounted for about 67%, showing women’s participation as a enjoying group of poems expanded in modern times.
    By period, hansi does not appear in women’s magazines in the 1910s. Women’s magazines in the 1920s began to pay attention to hansi of pre-modern women, but the proportion of modern poetry is large and only the original text is presented without translation, so it tends to target the intellectuals rather than the popular Korean literary class. In the 1930s, as women’s magazines contained overwhelmingly many hansi works, they actively introduced pre-modern women’s hansi works, and with the translation and explanation of them, the enjoyment class expanded to popular female readers. There is also a view of hansi as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ure in relation to the subject of poetry, such as seasonal festivals and places, but the tendency to enjoy poetry as lyrics also accounts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Although attention is paid to before the 17th century, a series of writings that make up female hansi from a literary and historical perspective appear, and show a close perception of Chinese poetry and women as lyric poetry. In the 1940s, there are fewer hansi poems than in the 1920s, but most of them tend to appreciate hansi as lyric poems.
    At this time, women’s magazines contained more hansi poems than any classical Korean poem, and it can be seen that classical poetry as poetry is centered on hansi for modern female readers.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as a lyric poem, hansi was appreciated and the nourishment of lyric poetry was also accepted through hansi as a reader in modern times. Through the actively introduced female hansi in modern women’s magazines, it is possible to see the modern aspect of the female enjoyment group, which was alienated from male-centered hansi, reconstructing their identity as hansi enjoy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