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말선초 서사시 체재 계승 : ≪月印釋譜≫ (Succeed the epic poems style of late Koryeo and early Chosun : ≪Wolinseokbo≫)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8.03
35P 미리보기
여말선초 서사시 체재 계승 : ≪月印釋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30호 / 7 ~ 41페이지
    · 저자명 : 신명숙

    초록

    ≪月印釋譜≫는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에 지은 ≪釋譜詳節≫과 세종이 지은 ≪月印千江之曲≫의 合編으로, 세조 5년(1459)에 편찬되었다. ≪석보상절≫과 ≪月印千江之曲≫은 산문 문학과 운문 문학 각각의 위치에서 작품성을 갖추고 있지만, 이 두 작품이 조화를 이룸으로써 상층민과 기층민이 모두 향유할 수 있는 형태인 ≪월인석보≫를 생산할 수 있었다.≪월인석보≫는 표면적으로는 개인적 감회, 통치자의 敎化사업, 한글의 실용성과 가치 검토라는 의도에서 편찬되었지만, 이면적으로는 세종이 이루지 못한 개정 사업을 이루려는 세조의 효심과 조선의 불경을 만들고자 한 주체성, 세조 본인의 崇佛의식, 여말선초 서사시 양식의 계승과 완성이라는 의도를 품고 있다.특히, 이야기 ≪석보상절≫, 노래 ≪월인천강지곡≫을, 합편하여 ≪월인석보≫를 완성함으로써 여말선초 서사시 체재를 계승하고, 한국서사시의 특성을 갖춘 일련의 작품에 계보를 형성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여말선초 서사시는 운문과 산문의 조화를 통해 서사 대상에 대한 이야기를 전개하고, 객관적인 태도로, 집단의 자긍심을 일깨우고 총체성 회복을 지향하는 특성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운문과 산문의 결합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 명확하지 않았다. ≪월인석보≫는 체재 완성의 과정을 알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두 번째 의미가 있다. 운문과 산문의 조화는, 후대 다시 분할되어 서사시는 서사적 성격의 시가작품으로, 산문은 불교계 국문소설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월인석보≫가 문학사 전개에 일정한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는 점에 세 번째 의미가 있다. 이런 까닭에 ≪월인석보≫에 대한 문학적 접근이 보다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Wolinseokbo≫ is the combined edition of ≪Seokbosangjeol≫ by Sejo when he was Suyangdaegun before enthronement and ≪WolinCheongangjigok≫ by King Sejong. It was published at the 5th year of King Sejo’s sovereign.
    Although ≪Seokbosangjeol≫ and ≪WolinCheongangjigok≫ were good in its field such as prose and verse, the balanced combination of the two works could make ≪Wolinseokbo≫ that both classes (the nobility and the common public) could enjoy.
    Although ≪Wolinseokbo≫ was published to remember personal feelings and educational projects of the governor and to review the practical meaning and the value of Hangeul on the surface, it meant to express the loyalty of Sejo to his father King Sejong to fulfill the project that he had not finished and his self-reliance to make Buddhist Bible of Chosun, his worship for Buddha, and the intention to succeed and complete Epic poems style of late Koryeo and early Chosun.
    Especially the fact that it succeeded the epic poems style of late Koryeo and early Chosun has meaning in that it succeeded the tradition of Royal epic that goes to ≪Dongmyeongwangpyeon≫ and ≪Jewangunki≫, ≪Yongbieuchunka≫ and Buddhist epic that goes to ≪Seokkayeoraehaengjeoksong≫.
    They create a system in the works with Korean epic characteristics by creating ≪Seokbosangjeol≫ as a prose and ≪WolinCheongangjigok≫ as a poem, combining them to complete ≪Wolinseokbo≫.
    Epics in late Koryeo and early Chosun develop the story about the subject through the balance between the prose and verse, awaken the pride of the group and go for the recovery of unity. However it was not clear how to combine the prose and verse. ≪Wolinseokbo≫ was created after ≪Seokbosangjeol≫ and ≪WolinCheongangjigok≫ were published respectively by combining them into one, amending and revising it. ≪Wolinseokbo≫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process of the system completion, which is the second meaning of this work.
    The combination of prose and verse became split again later and epic became the epic like poetry and prose became Buddhist Novel in Korean. We can find the third meaning in that ≪Wolinseokbo≫ has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