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하림 후기시의 공간의식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nsciousness ofHa-Rim Choi’s Latter Period Poet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6.01
24P 미리보기
최하림 후기시의 공간의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49호 / 293 ~ 316페이지
    · 저자명 : 김제욱

    초록

    이 논문은 최하림 시인의 후기시에 해당하는 5~7시집과 시집 미수록 근작 시를 중심으로 한 공간의식 연구이다.
    최하림의 시세계를 조망하는 데 있어 그의 존재론적 종착지라고 할 수 있는 ‘풍경’을 바라보는 태도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풍경에 도달하기 위한 여정으로써의 사유 체계는 주된 상관물인 집․창문․바람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명확히 드러난다. 본고는 풍경과 그 안의 사물을 다루는 시적 어조와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집․창문․바람에 나타난 공간적 상징체계의 의미를 도출하고 시에 나타난 미학적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집’은 현재적 공간이며, ‘집 밖’은 내면 공간, ‘바람’은 현재적 공간과 내면 공간 사이를 오가는 매개체이다. 이때, ‘집’과 ‘집 밖’의 경계에 놓인 ‘창문’은 시적화자의 존재론적 위치를 의미한다. 사색하는 공간이며 물음의 출발점인 ‘집’은 일상보다 더 내밀한 공간이자 자기반성의 기저이다. 역사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지 못한 한계와 반성으로 인한 존재론적 고민의 장소이다. 또한 집은 세상과의 단절을 의미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창문’은 시인과 세상과의 경계지점이다. ‘창문’은 거울과 달리 시인의 얼굴과 풍경을 동시에 바라보게 하므로 세상을 객관화해 바라볼 수 있는 이중 시선으로 작용한다. 나와 타자, 우리를 동시에 바라보며 존재론적 사유를 하는 독특한 미학적 시선이다.
    ‘바람’은 집의 안과 바깥을 오가며 창의 경계를 넘나드는 대상이다. 바람의 운동성은 불안, 즉 내면의 흔들림으로 작용하며 풍경을 동적으로 만드는 요소이다. 흔들리는 풍경은 기억 속의 시․공간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회적 약자와 역사에 희생된 이들을 일련의 일상적 풍경으로 묘사하는 것은 시․공간을 무화시키며 이렇게 합일된 풍경은 ‘개인’이 아닌 ‘우리’의 시선을 회복하기 위한 모색임과 동시에 개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최하림의 시세계는 순수와 참여의 경계에 위치하여 어느 한 쪽으로 집중되지 않는다. 그러한 이유로 기존의 논의에서도 역사적 삶 전반을 시와 견주어 평하다보니 시세계 전반을 형이상학적인 존재론적 풍경의 이미지로 바라볼 뿐 시적 특질은 잘 드러내지 못했다. 인상비평이나 단평에 의존한 경우가 많은 이유도 그러하다. 본고에서 논의한 최하림의 ‘창 들여다보기’는 풍경과 내면을 동시에 바라보게 하는 시적 방법론으로써 독특한 언어의 자의식을 드러내는 시적 사유공간을 창출했다. 그는 창 너머 시․공간의 총체적 경험을 들여다보는 행위를 통해 시와 삶, 역사성에 대한 응전은 물론 존재론적 사유와 시대적 반성을 지속해왔다. 본고는 ‘집․창문․바람’의 공간 의식 분석을 통해 시적 특질을 세분화하여 밝혔으며, 이는 시인의 영면 이후 미적 세계를 본격적으로 조망해보고자 하는 첫 시도로써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space consciousness of the poet Ha-rim Choi;the focus is on the fifth through seventh anthologies of his poetry (i.e., his later poems and recent poems not yet published). When considering Ha-rim Choi’s poetic world,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manner in which he looks at the “scenery,” or his ontological destination. The thinking that a road is needed to reach the scenery comes into view clearly through the structural relations of a house, window, and the wind-the main correlatives. By analyzing the poetic tone and manner in which the scenery and objects in it are treated, this thesis aims to deduce the meaning of the symbolic spatial system in which a house, window, and wind represent and reveal the aesthetic features and meaning in Choi’s poems.
    The “house” is the present space, and “outside the house” is the inner space. “Wind” is a medium for coming in and out of the present space and inner space. Here, a window on the border between the house and outside the house represents the ontological position of a poetic narrator. The house is the space for contemplation and the starting point of questioning;it is a more secretive space than daily lives and the medium of self-reflection. It is the place for ontological worry caused by the limitations and reflections resulting from not taking an active part in the stream of history. A house is the space representing disconnection from the world.
    A window is a boundary between the poet and the world. It makes us look at the face of the poet and scenery at the same time, unlike looking into a mirror. It presents a dual viewpoint and enables us to view the world objectively. It is a unique aesthetic and simultaneous view of me, others, and us, presenting the opportunity to think ontologically.
    Wind comes in and out of the house and crosses the boundary of the window. The motion of wind represents anxiety-shaking on the inside-and it is the feature that makes the scenery dynamic. The swaying scenery plays the role of arousing memories of time and space. Describing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and their sacrifices in history as a series depicting everyday scenery assimilates time and space. Thus, this unified scenery reflects the struggle to regain the view of “we.” It is a part of the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ndividuals.
    Ha-rim Choi’s poetic world borders both innocence and participation, and it does not lean to either side. Thus, history has been examined according to his poems in conventional discussions. Typically, the world of poetry has been viewed only as metaphysical and ontological scenery, and poetic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expressed well. Thus, many discussions depend on impressionist criticism or brief commentaries. Ha-rim Choi’s “Looking in the Window,” discussed in this thesis as poetic methodology that makes us look at the scenery and the inner side simultaneously, creates a space for poetic thoughts that expose self-consciousness through a unique language. Through the action of holistically viewing time and space beyond the window, Choi has continued to think ontologically and reflect on the times. Additionally, he resists the conventional approach toward poetry, life, and historicity. This thesis has segmented and established the poetic traits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consciousness;after the death of the poet, it has significance as his first attempt to examine his aesthetic world in earn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