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순 사회시의 서사구조 (The Narrative Structure used in Social Poetry by Song So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5.12
31P 미리보기
송순 사회시의 서사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33호 / 149 ~ 179페이지
    · 저자명 : 황수정

    초록

    본고는 宋純 사회시의 서사구조를 연구한 것이다. 송순은 16세기 호남시단의 맹주로서 역할을 한 인물이다. 송순의 한시 560여 수에 담긴 시세계는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다. 특히 그의 장편 사회시는 서사적 구조를 띠면서 독특한 면모를 보인다. 따라서 그의 사회시에 나타난 서사구조를 고찰하였다.
    송순이 살았던 시기는 훈구척신들과 신진 士大夫들의 반목과 대립으로 지배층의 분열이 두드러졌던 때였다. 송순은 사회시를 통해 현실 비판적 안목을 예리하게 표출하였다. 관인으로서 송순의 삶은 강한 책임의식과 신중함을 표방하였다. 송순은 결코 벼슬하기에 급급하지 않았으며, 늘 귀향에의 의지를 드러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聞丐歌>와 <聞隣家哭>을 통해 문답식 구조를 고찰하였다. 두 편의 사회시는 대화 문답의 형태를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이야기의 발단과 과정, 그리고 결말에 대한 언급이 뚜렷하다. 구체적인 인물의 등장과 이야기의 긴박성이 잘 드러나 있다. 특히 <聞丐歌>는 걸인을 등장시켜서 연산군을 미친 왕으로 비유하였다. 현실 모순을 걸인과의 문답식 구조로 표출함으로써 비판의 강도를 숨기면서 역설적으로 강조하는 기법을 구사하였다. 또한 <聞隣家哭>은 苛政猛於虎의 시대로서 백성들이 포악한 정치로 인해 고통받는 면모를 묘사하였다. 노파의 목소리를 통해 당대 사회의 모순과 질곡을 강하게 그려냈다. 서사구조로서 사실감 있는 이야기 전개와 극적 상황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해결 방안 제시 등을 대화 문답 형태로 취함으로써 주제를 강화시켰고, 詩意를 역동적으로 드러냈다.
    둘째, <啄木歎>을 통해 寓話的 구조를 살펴보았다. 하루아침에 생기를 잃은 나무는 힘없는 백성과 나라를 비유한 것이다. 또한 끊임없이 쪼아대는 새들과 무수한 벌레들은 간사한 무리배들을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우화적 기법으로 이야기의 명료성을 드러냈다. 우화적 이야기 방식을 통해 나라의 안위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영달만을 추구하는 간신배들의 실태를 묘파하였다. 시인은 노부의 모습으로 등장하였다. 나무를 어루만지며 한없이 애석해 하는 심정을 표현하였다. 우화적 기법을 통해 筆禍를 피하고 풍자와 비유로서 주제의 의미표출을 내밀하게 하였다.
    셋째, <田家怨>을 통해 점층적 구조를 파악하였다. 궁핍한 백성들의 삶을 점층적으로 묘사함으로써 그들의 고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강한 애민정신을 드러냈다. 上句 보다 下句를 더욱 절실하게 묘사하여 시련의 확대로 드러내면서 그 의미가 더욱 강화되었다. 또한 일정한 이야기 구조를 구축하면서 작가의 애민정신을 부각시켰다. 점층적 구조는 의미의 강화와 표현의 효과를 두드러지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비록 구체적인 인물이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서사구조로서의 짜임을 알 수 있었다.
    송순은 장편 사회시를 통해 당대 현실에 대한 사실적 묘사와 섬세한 감정을 그려냈다. 그의 사회시는 詩史性을 띠면서도 체재에 대한 예리한 통찰과 비판을 담아냈다. 또한 서사구조를 형성하면서 시적 역동성과 사실성을 구축하였다. 즉 문답식 구조, 우화적 구조, 점층적 구조를 통해 주제 표출을 강화시켰으며, 표현의 다양성을 확보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peculates on the narrative structure used of social poetry by Song Soon. Song Soon was a leader of the Honam Poetry Circle in the 16th century. The poetic world in his 560 Chinese poems covered many diverse aspects. In particular, his long social poetry has some distinctive aspects with its narrative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narrative structure in the society he wrote about.
    First, this study analysed his question and answer structure through Mungaega and Munlingagok. These two social poems are characterized by conversation including questions and answers. In particular, Mungaega compared Yeonsangun to an insane king through the use of a beggar. He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in reality through conversation using questions and answers while hiding the intensity of his criticism. Also, Munlingagok depicted the people who were suffering under fierce politics. Through the voice of an old women, contradictions and the restraints in the society of the time were expressed. The story developed in reality dramatically. Solutions were presented as questions and answers to emphasize the themes and the author's poetic mind was revealed actively.
    Second, through Takmoktan, this study analysed allegoric structure. The tree which lost its vitality in a day was compared to weak people and the country. The infinite number of birds and insects which continued to peck and bite were configurations of cunning profiteers. Such allegory explained the story with clarity. Through allegoric story telling, the author described treacherous subjects who pursued only their own advancement in detail. The poet appeared as an old man in the story. He was sorry about the withered tree, stroking it sorrowfully. He avoided trouble through allegory, metaphor and satire to reveal the theme in secrecy.
    Third, through Jeongawon, this study identified cumulative structure. By describing the life of the people in need cumulatively, the poet explained their suffering in reality and showed his strong love to the people. He gave focus to the lower part rather than the upper part in poetry through which hardship was expanded and its intent was emphasized more. A certain story structure was constructed, in which the poet's love for the people was highlighted.
    Song Soon described the reality of the time realistically with delicate sense through long social poetry. His social poetry penetrated into the system of that time criticizing it while making suggestions for society.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poetry contributed to poetic dynamism and reality. That is, through the questions and answers, allegory and cumulative structure, themes were reinforced and diverse expressions were made avail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