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향가와 그 한시의 관계 (The Connection of a hyangga and that Chinese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7.04
34P 미리보기
향가와 그 한시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56호 / 105 ~ 138페이지
    · 저자명 : 김기종

    초록

    이 글은 현재 전하는 향가와 그 한시의 관계를 노랫말․시어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차이점을 보이는 이유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였다.
    <도솔가>는 미륵삼부경의 미륵 형상화에 기반하여 ‘꽃’과 ‘미륵좌주’의 분리․결합을 통해, 지금 미륵이 가창의 현장에 존재하고 있음을 노래한 것이다. 해시는 <도솔가>의 ‘뿌리는’․‘모셔라’의 노랫말을 ‘올려보내네’․‘멀리서 맞이하네’의 시어로 풀이함으로써, 화자가 구름 위로 올려보낸 꽃이 멀리 도솔천에서 내려오는 미륵보살을 맞이하고 있음을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미륵의 ‘상주’와 ‘하강’의 거리는, <도솔가>를 부른 뒤에 미륵이 모습을 보였다는 배경설화의 맥락을 고려한 해시 작자의 의도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보현십원가>는 ‘내 몸’이 바로 부처라는 선언을 통해, 청자들이 모두 부처가 될 수 있고, 부처가 되어야 함을 노래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보현십원송>은 ‘부처의 일’과 관련된 노랫말을 한역하지 않고, 향가에 없던 ‘보살’ 관련 시어와 ‘지성’․‘일심’ 등의 시어를 새로 추가하여, 독자들이 보살의 길을 지향해야 하고 이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과 정성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보현십원가>의 ‘부처의 일’과 <보현십원송>의 ‘보살의 길’은 각각 의상․균여의 해동화엄과 법장․징관의 중국 화엄사상에 대응되고 있는데, 최행귀는 <보현십원가>의 한역에 있어 향찰․한자와 노래․시의 차이 외에도, 사상의 차이까지 고려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작자와 작품의 제재가 같은 <도이장시>와 <도이장가>는 시상 및 내용 전개에 따라 세 단락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가상희를 본 사실→ 가상희에 대한 화자의 생각→ 신숭겸․김락의 고사와 화자의 의미부여’, 후자는 ‘신숭겸․김락의 고사→ 가상희에 대한 묘사→ 화자의 소감’의 내용 전개를 보인다. 그리고 <도이장시>의 “이로써 왕업의 기틀을 보전하였네”라는 시행과 <도이장가>의 “자취는 나타나시도다(나타내실진저)”의 노랫말은 두 작품의 시적 지향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곧 <도이장시>가 현재의 가상희를 통해 과거의 고사를 ‘생각’하고 그 의미를 ‘왕기의 보전’으로 자리매김했다면, <도이장가>는 과거의 고사가 가상희를 통해 현재 이곳에서 재현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미래에도 ‘곧은 자취’가 지속되기를 기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기록을 통한 보존과 가창을 통한 확산이라는 한시와 향가의 매체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Dosolga> is a song that Maitreya now exists in the scene of the singing. The translated into Chinese poetry describes that the flower that the speaker put up on the clouds is gathering in the distance to meet the Maitre d 'The distance between the 'residence' and 'descent' of Maitreya is attributed to the intention of the translated into Chinese poetry,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background narrative that Maitre'd appeared after singing 'Dosolga'.
    <Bohyunsibwonga> sings that all listeners can become Buddhas and become Buddhas. On the other hand, <Bohyeonsipwonsong> emphasizes that the readers should aim for the way of Bodhisattva, and for this endless efforts and sincerity are needed. The Buddha's work and the Bodhisattva Song's ‘Bodhisattva's path’ in the ‘Buddhist temple’ correspond to the Silla Buddhist thought and the Chinese Buddhist thought,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s in song and poetry, we can also see that differences in thought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Dooijangga> and <Doijangsi>, which have the same author and sanction of the works, have a common point divided into three paragraphs in the award and content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concrete contents,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etic orientation of both works. If <Doijangsi> was able to 'think' past past tense through the present truce and place its significance as 'preservation of truce', <Doijangga> And that i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This difference is due to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and the cheerfulness of preservation through record and diffusion through the ch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