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牧隱 李穡의 詩와 『詩經』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ry and prose of Mok-eun Lee Saekand in the Book of Od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9.12
36P 미리보기
牧隱 李穡의 詩와 『詩經』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54권 / 105 ~ 140페이지
    · 저자명 : 鄭日男, 이려

    초록

    『詩經』은 유가의 경전이면서 시가총집이다. 본고가 牧隱 李穡의 시문과 『시경』관련을 연구과제로 선정한 것은 첫째로 『시경』의 이중 의미를 감안해서이고, 둘째는 목은의 시문에서 『시경』인용 빈도가 고려는 물론 전반 한국고전문학사에서도 가장 많은 양으로 집계되기 때문이다. 牧隱은 고려문학을 대변하는 시인의 한 사람이고 전반 한국고전문학사에서도 그 문학성취가 인정되는 문인이다. 따라서 목은 시문과 『시경』의 관련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목은의 『시경』 인식을 “문장은 도덕에서 나온다”는 그의 문학견해와 관련시켜 살펴보았다. 목은의 문학경향은 도덕성을 전제로 하는 “思無邪”와 궤를 같이 한다. 그것은 또 시의 “根於心” 내지 詩道의 “性情”으로 나타난다. 이런 주장은 전통적인 “詩言志”설의 계승과 발전이다. 목은은 詩道의 타락은 世道의 타락과 관련된다고 했다. 그가 시문에서 “仁義道德”적 성격을 갖춘 『시경』 등 경전을 대량으로 이용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시와 『시경』관련에서는 주로 『시경』의 詩旨와 詩句 이용을 살펴보았다. 우선 詩旨의 작품화를 분석한 결과 성리학적 내용으로 집대성된 雅頌詩가 많았다. 다음은 시구의 약간한 변용에서는 1자의 增減 등으로 시행의 자수를 맞추고자 하였고, 순수 變用은 『시경』 구절에서 2자․3자․4자․5자를 취하는 등 형식이 다양했던바 이는 고려조 다른 문인들보다 독특했다. 특히 「古意三章章四句」같은 경우 9편의 『시경』 詩句를 참조하여 나의 시를 지었다는 것은 詩作에서 전인의 시구절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요컨대 목은이 『시경』을 대량으로 다양하게 이용한데는 그의 성리학적 문학관에 기인되고, 또 그것이 목은의 문학을 성취하는데도 크게 일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k-eun Lee Saek’s work and the Book of Odes and the reason of choosing this topic is as follows. Firstly, this research is inspired by the ambivalence that the Book of Odes presents. Secondly, the Book of Odes is very frequently cited in Mok-eun’s poem and the frequency rate is second only to the cita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At the same time, the frequency of citing the Book of Odes ranked top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ince Mok-eun’s literary achievement is commonly acknowledg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k-eun’s work and the Book of Odes.
    Firstly, this paper associated Mok-eun’s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Odes with his literary opinion, which is represented in “The article comes from morality.” Mok-eun’s literary leanings are in line with “pure thought[思無邪]”, which is based on morality. Further, it is also reflected by “rooted in the heart[根於心]” or by “nature[性情]” of poetry way[詩道]. This kind of opinion derives from the theory “Poetry expresses aspiration[詩言志]”, and becomes the premise of Park Je-ga’s “Opening one’s mind[開其心智]” in poems. According to Mok-eun, the corruption of poetry [詩道] is related to the depravity of the manners and morals of the time[世道]. Therefore, he used a large amount of quotations from the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the Book of Odes.
    Secondly,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k-eun’s poetry and prose and the Book of Odes, this article mainly observed the use of theme[詩旨] and verses[詩句] from the Book of Odes. It turns out that most of the poetization[詩化] of the theme are A-Song poetry[雅頌詩]. As to the use of verses, diversification[變用] is the most common and a certain diversity could also be observed in forms. It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strengthen the creativity of poetry. Specifically, when writing the poem <古意三章章四句>, the author alludes to several verses from nine poems of the Book of Odes. This probably means that the author could accept the verses of former poets critically. In short, the large extent of Mok-eun’s reference to the Book of Odes is attributed to his literary view of Neo-Confucianism[性理學], which has also motivated Mok-eun’s literary achie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