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동규(黃東奎) 초기 시(詩)에 나타난 나르시시즘의 사랑 연구 - 『어떤 개인 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rcissistic love in the Dong-Gyu Hwang’s early poems – focusing on 『One Fine Da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3.12
26P 미리보기
황동규(黃東奎) 초기 시(詩)에 나타난 나르시시즘의 사랑 연구 - 『어떤 개인 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50호 / 229 ~ 254페이지
    · 저자명 : 오주리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황동규의 초기 시에 나타난 나르시시즘의 사랑(the narcissistic love)을 『어떤 개인 날』을 중심으로 구명하는 것이다. 황동규는 4.19 민주화 혁명 세대의 시인이다. 그의 시는 식민지의식과 전후 허무의식을 넘어선다. 그의 초기시편들은 미성년 시기의 순수한 서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사랑은 젊은 시인의 내면의 사랑으로서의 나르시시즘의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정식분석학적 이론을 원용하여 그러한 논제를 증명하고자 한다.
    II장은 나르시시즘의 ‘사랑의 동일시(identification)’의 국면을 다룬다. 동일시는 사랑의 주체와 타자 사이에서 내면에 비치는 화면(screen)으로서의 나르시스의 물거울에 형성된다. 반면에, 그 화면은 주체와 타자를 가로막는 차폐막이 되기도 한다. 황동규의 시편들에서는 ‘강’과 ‘얼음’의 이미지들이 나르시시즘의 사랑에서의 동일시에 대한 내면의 화면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III장은 나르시시즘의 ‘사랑의 이상화’의 국면을 다룬다. 사랑의 주체와 타자의 이상화의 국면은 대타자(the Other)에 대한 언술행위(enunciation)에 의해 형성된다. 황동규의 시편들에서 ‘편지’, ‘엽서’ 그리고 ‘기도’는 타자를 이상적인 존재로 만드는 언술행위들이다. 이상화는 나르시시즘의 사랑을 주체성(subjectivity)의 절정에 이르게 한다. 반면에 이상화된 타자는 사랑의 주체를 위협한다. 나르시시즘의 사랑에서 타자에 대한 공격성(aggressivity)은 그러한 주체의 위협으로부터 온다. 황동규의 시에서 ‘기다림’ 또는 ‘씨름’ 등의 행위들의 이미지는 나르시시즘의 사랑에서의 이상화의 비극적인 국면을 표현한다.
    IV장은 나르시시즘의 ‘사랑의 죽음충동(thanatos)’를 다룬다. 타나토스는 정신분석학에서 죽음충동을 의미한다. 사랑의 주체와 타자 사이의 대립은 주체의 패배로 귀결된다. 그것은 자신의 연인에 대한 일종의 자기희생이다. 그러한 자기희생적 주체는 시 안에서 상상적 죽음을 겪는다. 결국, 그의 연인의 죽음은 가장 숭고한 행위가 된다. 황동규의 시편들에서 「피에타」는 그러한 것이 재현된 작품이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이 논문의 결론을 맺으며 황동규 시의 나르시시즘의 사랑은 젊고 순수한 시인의 비성애적(non-genital)이고도 미성년적인 사랑이란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덧붙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rcissistic love in the Dong-Gyu Hwang’s early poems focusing on One Fine Day. Hwang is the poet in the generation of the April 19th Democratic Revolution(1960). His poetry is beyond the colonial consciousness and the nihilistic consciousness of postwar era. His early poems are characteristic of the pure lyricism of the adolescence. The love in his early poems is the narcissistic love as the inner love of the young poet. According to Julia Kristeva’s psychoanalytic theory, this thesis is constituted.
    The chapter II covers the phase of the identification in the narcissistic love. The identification is formed between the subject of the love and the object of the love by the inner screen(écran) as Narcissus’s water-mirror. On the other hand, the screen is the shield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the Hwang’s poems, the images of ‘River’ or ‘Ice’ have the function of the inner screen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narcissistic love.
    The chapter III covers the phase of the idealization in the narcissistic love. The idealization is formed between the subject of the love and the object of the love by the function of the enunciation for the Other. In the Hwang’s poems, ‘Letter’, ‘Postcard’ and ‘Prayer’ are the enunciations that make the other idealistic being. The idealization makes the narcissistic love get to the maximum of the subje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idealistic other frustrates the subject of the love. The aggressivity for the other in the narcissistic love comes from the frustration of the subject. In the Hwang’s poems, the images of the actions such as ‘Waiting’ or ‘Sirum’(Korean traditional wrestling) are expressed as the tragic phase of the idealization in the narcissistic love.
    The chapter IV covers the thanatos of the narcissistic love. Thanatos means death-drive in the psychoanalysis. The conflict between the subject of the love and the object of the love is concluded at the defeat of the subject. It is a kind of self-sacrifice for his lover. Such a self-sacrificial subject experiences the imaginary death in the poems. In the ends, the death for his lover becomes the most sublime action. In Hwang’s poems, Pieta is such a representative work.
    Finally, in the chapter V, I summarizes this thesis. In addition, the narcissistic love in Hwang’s poems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genital love of the adolescence. One fine day is the chastity for his lover of the young po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