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안의 樓亭詩 고찰 (A Study of Poem on Nujeong in Cheon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2.06
33P 미리보기
천안의 樓亭詩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24권 / 1호 / 39 ~ 71페이지
    · 저자명 : 송기섭

    초록

    樓亭는 일부 상류층 및 식자층의 문화와 휴식공간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조선 이후 儒家정신과 결합함으로써 풍류를 즐기고 이념 등을 논하면서, 자연과 교감하는 장소로 그 역할을 다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 느낌을 시로 읊었으며, 그 내용의 양상이 누정의 역사, 위치,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천안의 누정에서도 역시 역사, 지리, 그리고 환경의 특색에 따라 시의 내용적 양상이 달리 나타나는데 북부지역은 백제 초기의 도읍이었고 三南으로 통하는 岐路였기에 내용상 백제 망국의 슬픔과 갈림길에서의 자신의 幽愁를 표현하는 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중부지역은 고려태조의 자취가 많이 남아 있고 선비들이 남북으로 오가면서 머물렀던 곳이어서 누정의 많은 시들이 태조의 발자취와 향수를 달래며 고민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남부지역은 아름다운 勝地가 많고 이곳의 정자들은 자연 속에 위치해 있어 자연산수를 소재로 노래한 시가 대부분이다.
    이에 천안 누정의 지역적 특색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시의 특성을 살펴보면 서거정의 「濟源樓」와 구봉령의 「次稷山濟源樓韻」에서는 망백제국의 슬픔을, 朴長遠의 「題天安郡樓」와 金宗直의 「登天安宣化樓」에서는 고려 태조의 자취를, 숙종의 「靈召亭」은 조선 임금의 자취를 남기고 있어 우리 역사의 흔적이 고스란히 누정에 배어 있다.
    李承召의 「宣化樓」와 吳䎘의 「天安水仙亭」에서는 향수 때문에 그 고민을 노래하고 있는 반면 申濡의 「滌愁樓」와 任埅의 「寒食登滌愁樓」에서는 자신의 시름을 씻어내려는 노력이 엿보이고 있어 이곳을 지나다 머무르며 느끼는 감정이 다양하게 시로 표현되고 있다. 따라서 이곳의 지리적 특색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勝地에 위치한 정자에서 읊은 시들은 산수를 벗 삼고 또한 가까운 벗과 화답하며 주변의 경관을 그리고 노래함으로써 옛 선비들의 교유와 철학적 사고를 느끼게 하고 있다. 유광흥의 「自閑亭」과 韓相旭의 「龍珠亭」에서는 정자에서의 선비들의 일상을 그리고 있고, 金得臣의 「伏龜亭」과 郭時徵의 「景寒亭」에서의 자연에 동화되어 즐기는 모습이 한 폭의 그림처럼 그려져 있으며 朴胤源의 「登伏龜」는 우주만물의 생성소멸과 순환의 이치를, 申光漢의 시 「題安亭」에서는 安貧樂道를 깨닫고자하는 고뇌에 찬 모습을 잘 그리고 있어 이곳의 환경적 요소가 깊이 가미되어 있다하겠다.
    이처럼 누정의 위치에 따라 역사적, 지리적, 환경적 요인이 내용에 적극 반영되어 있음은 이곳의 누정시 만이 가질 수 있는 가치이고 이외에 누정 속에서 그들의 인간적인 면모를 읽을 수 있어 樓亭이 우리의 훌륭한 문화로 발전하는데 그 역할이 매우 지대했음을 능히 짐작할 수 있다.

    영어초록

    Nujeong had been used as a cultural space and rest place of some high classes and intellectuals, then it was a place they enjoyed the arts and discussed ideologies and communed with nature as an influence of the Confucian idea during the Chosun Dynasty. In such a rest, they recited poems to express their feelings. Aspects of those poems vary depending on Nujeong’s history, region and natural environment.
    This is same in Nujeong of Cheonan. Because the northern Cheonan was early Baekje’s capital and crossroads, there were mainstream poems that implied the poets’ sorrow about ruination of Baekje and worry at a crossroads in there. In the central Cheonan, there remained the first king’s vestige of Goryeo Dynasty and scholars stayed on their way from north to south. Therefore, there were mainstream poems that implied worry and the first king’s vestige. This helped scholars to deal with their homesickness.
    However the southern Cheonan had many areas of scenic beauty and pavilions in this place were located in nature, and so most poems’ material was nature.
    Here are some features of poems related to Cheonan Nujeong’s regional characteristic. We can see sorrow for ruination of Baekje form Jewonru by Geojeong Seo and Chajiksanjewonruun by Bongryeong Gu, the first king’s vestige of Goryeo from Jecheongangunru by Jangwon Park and Deungcheonanseonhwaru by Jongjik Kim and the king’s vestige of Chosun from Yeongsojeong by King Sukjong. Our historical trace remains intact in these works. Seonhwaru by Seungso Lee and Cheonansuseonjeong by Suk Oh are poems about concern from homesickness. On the other hand, in Cheoksuru by Yu Sin and Hansikdeungcheoksuru by Bang Lim, they tried to be free from anxiety and variously expressed their feelings while passed by. Thus, these works show they reflected regional features well.
    Poems recited in pavilions of scenic beauty show old scholars’ friendship and philosophical thought by representing landscape and responding to friends’ poems. Jahanjeong by Gwangheung Yu and Yongjujeong by Sanguk Han represent scholars’ daily life on pavilion. The image they assimilated with nature in Bokgujeong by Deuksin Kim and Gyeonghanjeong by Sijing Gwak is like a picture. In addition, Deungbokgwi by Yunwon Park tells about birth and death of all things in universe and order of cycle and Jeanjeong by Gwanghan Sin represents well his anguish over the situation he wanted to enjoy Tao in poverty. This shows poets brought natural environment to poems.
    And to conclude, the poem actively reflected historical, regional and natural elements by location of Nujeong. Therefore, this means Nujeong had a big effect on our great culture from their humanity in Nujeong as well as the only value of Nuj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