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澄의 詩意圖 연구 (A Study on the Poetry-based-Paintings of Lee J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1.06
22P 미리보기
李澄의 詩意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2호 / 103 ~ 124페이지
    · 저자명 : 조인희

    초록

    李澄(1581-1674이후) 은 조선 중기 畵壇을 대표하는 畵員으로 산수, 영모등 모든 畵目에서 고른 기량을 발휘하였다. 특히 이징의 기량은 시를 화제로 그리는 詩意圖 제작에도 발휘되어 조선 중기 시의도의 양상과 특징을 보여준다.
    이징의 시의도는 조선중기 文人들의 문집 등을 통해 제작에 관한 기록과 현존하는 작품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문헌 자료를 통해선 이징이 명나라의 朱之蕃(?-1624)이 조선에 전한 『千古最盛帖』을 臨摸했고, 成宗(재위 1469-1494 )이 지은 <소상팔경시>를 화제로 한 <소상팔경도>의 제작했으며 羅萬甲(1592-1642)이 소장했던 石敬(16세기 중엽 활동)이 그린『畵帖』을 복원 했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러한 기록을 바탕으로 이징이『千古最盛帖』을 통해 詩意圖의 구체적인 형태와 이 화첩의 주요 화풍이던 중국 吳派의 화풍을 익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현존하는 이징의 <소상팔경도>가 여러 폭 있어 이 화제가 그에게는 익숙한 화제였을 것이다. 따라서 성종의 <소상팔경시>를 화제로 한 <소상팔경도> 역시 현재 전하는 다른 작품들과 유사한 형식이었을 것으로 본다. 석경이 그린『畵帖』을 복원했다는 기록을 통해 이징은 李荇(1478-1534)의 시를 비롯해 한 시대를 풍미한 시를 화제로 시의도를 그렸음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이징의 시의도로는 趙光祖(1482-1519)의 題畵詩를 화제로 그린 <蘭竹屛>과 鄭汝昌(1450-1504)의 시 <岳陽>을 화제로 하여 그린 <花開縣舊莊圖>가 있다. <난죽병>은 후학들이 조광조의 학덕과 곧은 절개를 기릴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화면에 표현된 난과 대나무는 강약이 절제되어 유연하며, 농묵과 담묵의 혼용으로 먹색의 변화를 주어 조선 중기의 시대 양식을 보여준다. <난죽병>을 통해 이징은 詩가 갖는 관념성을 극복하기 위해 시각적 이미지는 물론 청각, 후각적 이미지도 시각화하며 화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했다. <화개현구장도>는 정여창의 시 <악양>을 화제로 그의 옛 주거지를 그린 것이다. 특히 實景을 詩句에 의존해 勝景의 관념 산수의 틀로 환치해 그려졌다는 점에서 문학과 회화의 주된 소재였던 ‘瀟湘八景’에 대한 이징의 인식과 이와 관련된 도상적 친연성을 찾을 수 있다.
    이상에서 논의 한 이징 시의도의 특징은 첫째, 시의도의 화제가 된 시들은 조선 문인들의 시와 제화시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畵題가 된 시들은 개인적인 상념이나 감상등의 서정적인 표현을 넘어 당시의 사회상을 보여준다. 셋째. 왕공 사대부의 주문에 의해 그려졌다. 넷째, 시의도의 화면 형태는 시와 그림이 각각의 화면에 분리된 것이 많다. 다섯째, 시의도의 화목은 산수화, 사군자가 주를 이루었다.
    戰亂,朋黨,士禍등을 겪으며 변화하는 사회, 그 혼란과 폐해를 딛고 새로운 틀을 짜는 시대의 중심에서 李澄은 그림을 통해 시대를 대변했다. 특히 이징의 시의도는 조선 중기 시대상을 알 수 있는 작품일 뿐만 아니라 이어지는 조선 후기 화단에서 다양한 화제로 활발하게 그려진 시의도의 초기 형태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Lee Jing(1581-1674 after)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tists in the middle era of the Joseon Dynasty who displayed similar strength in every field of painting such like landscape and animals. Especially, he had onstanding capacity of making 'poetry-based-paintings' demonstrating the patterns and trends of paintings in the period.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based-paintings through deep review on those works.
    By literatures and documents by Confucian scholars of the period, we can recognize that Lee tried to copy the『Qian-gu-zui-sheng-tie』 for learning its style and mentality which was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Oh painting school and imported into the Joseon society by Ju Jee-Bun(?-1624) of the Ming Dynasty, painted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hich was based on the poem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of the Chinese emperor Sung-Jong(1469-1494), and recovered 『Picture album』 which was originally painted by Suk Kyung(about 1500s). These facts means that he would have learnt the details of the painting pattern and style of the Oh school by the practice of copying their works. Drawing the painting based on the landscape poem,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and the work of recovering 『Picture album』 could make him to a great extent familiar to making the poetry-based-painting.
    The existing poetry-based-paintings of Lee are two; one is <Orchids and Bamboos> based on the poem for painting by Cho Kwang-Jo(1482-1519), the other is <A Country House on Whagae-Prefecture> took Chung Yeo-Chang(1450-1504)'s poem, <Akyang>. <Orchids and Bamboos>, which was promoted to praise the scholastic virtue and strong fidelity of Cho Kwang-Jo by his disciples, was having shown the typical style of the middle era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constrained but tender expressions and harmonious changes of density of the inky black. Lee demonstrated the competency as a excellent painter, visualizing auditory and olfactory images, which made him able to overcome the ideality of the poetry through it. <A Country House on Whagae-prefecture> is what he portrayed the old dwelling site of Chung Yeo-Chang on the base of his poem <Akyang>. We can find out Lee’s ideas on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hich was the main object of literature and arts and the compositional affinity deeply involved with those in that real landscape was painted as a ideal one of beautiful scenery following the meaning of poetry.
    The characteristics of Lee’s poetry-based-paint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it is clear that the main object of his poetry-based-paintings was the poems of the scholars of the Joseon . Secondly, the poems portrayed the social aspect of the period as well as describing the romantic expressions of individual emotions. Thirdly, the poetry-based-paintings was mainly ordered by the royal family and power elites of the Joseon society. Forth, many paintings is divisional in the composition of picture and poem. which composition. Last, the main themes of the poetry-based-painting are landscape and four honourable pl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