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동엽 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The Study of Utopian Consciousness in the Poetry of Dong-yeop Sh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3.08
37P 미리보기
신동엽 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64호 / 169 ~ 205페이지
    · 저자명 : 김경복

    초록

    신동엽의 문학은 한국 60년대 문학사와 맞물려 해석할 때 온당한 의미를 획득한다. 참여시로 규정되는 그의 문학은 분단민족의 현실에 대한 우려와 함께 민족자주국가 형성을 주제로 삼는다. 신동엽의 이러한 의식은 자연스럽게 당대의 이상적 사회상, 즉 유토피아에 대한 의식을 그의 시적 내용으로 가지게 되는데, 이 내용이 얼마나 정합성을 띠고 당대의 현실에 대응했는가를 살펴보는 일은 현재에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유토피아란 인류의 가장 깊은 갈망과 고귀한 꿈, 그리고 높은 포부가 성취되는 상상의 사회다. 그것은 당위의 세계이며 현실에 대한 제도적 비판과 개혁을 위한 제안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규범적 세계로 이해된다. 이런 유토피아적 사고로 신동엽 시를 살펴보았을 때 그의 시는 당대의 현실 비판과 함께 시대적 모순을 뛰어넘는 이상적 사회상을 제시하고 있다.
    당대 현실 비판은 분단의 고착화에 따른 조국의 모순된 현실을 그리는 데서 볼 수 있다. 그의 시에서 우리나라는 우선 ‘타국의 기지’, 즉 주체적 자유와 자발성이 사라진 현실로 나타나고 이로 인해 약탈, 착취, 부정 등이 넘치는 현실에 놓이게 된다. 때문에 그의 시는 외세에 대해 저항하는 의식을 보여주고, 더 나아가 외세에 빌붙어 기생하는 매판 자본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외세에 대한 반감은 자연스럽게 외세가 가지고 들어온 문명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본다. 문명화된 사회가 당대 우리 민족의 생명적 위기 상황을 조장하는 것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신동엽이 추구하는 이상적 사회상은 두 가지다. 하나는 원시적 자연주의로, 인간의 삶을 편리하게 하리라 보았던 현대문명이 오히려 인간에게 허울과 허식만 가져오게 함으로써 인간의 진정성을 상실케 했다고 보고 원시적 자연의 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당대의 현실과 관련하여 자유와 평등이 보장된 사회상, 즉 자주적 공동체로서 무계급사회다.
    신동엽은 이러한 이상적 사회상의 사상적 기반을 세 측면에서 얻고 있다. 우선 아나키즘 사상이다. 그의 시에서 ‘무정부 마을’로 표상되는 아나키즘 사상은 일체의 권위와 억압으로부터 인간의 자유로운 해방을 쟁취하고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하는 이상적 삶의 모습을 담아내는 이데올로기로 표현되고 있다. 다른 하나는 동학사상으로 인내천(人乃天) 사상에 따라 민중평등과 자주적 삶을 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노장사상(老莊思想)으로 원시적 자연주의 및 소국과민(小國寡民)의 이상향을 추구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이러한 사상과 사회상으로 구축되고 있는 신동엽의 유토피아 의식은 60년대 현실에 정합성이 있는 현실 대응이자 높은 심미적 이상을 심어주는 문학적 성취가 되고 있다.

    영어초록

    The literature of Dong-yeop Shin obtains a reasonable meaning when being interpreted with literature history of Korea in 1960's. His literature takes the forming of national independence state together with a concern to the reality of divided people as his themes. Such consciousness of Dong-yeop Shin naturally regards the consciousness to the ideal society of that time, i.e. the consciousness to the utopia as his poetic content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find that such contents how to respond to the reality of that time with consistency even in the present.
    The utopia is a society of imagination which the most deepest longing, noble dream, and the higher ambition of humankind are achieved. It is a world of needs and is understood as normative world in which it shows a suggestive characteristics for systematical criticism and reform to the reality. When appreciating the poetry of Dong-yeop Shin with such utopian thought, his poems are indicated as the ideal society beyond periodical contradiction together with the criticism to the reality of that time.
    Criticism to the reality of that tims can be shown from that it describes the contradicted reality of Korea according to fixation of division. In his poems, first Korea is indicated as 'a base of other countries', i.e. the reality which independent freedom and spontaneity are disappeared and due to this, it becomes a reality which plunder, exploit, and illegality are spread. Therefore, his poems show a consciousness to resist to foreign power and further they are lead to the criticism to comprador capital being parasite to foreign power. Antagonism to foreign power naturally sees the civilization which foreign power has brought with negative view. It regards as that civilized society aggravates the life crisis of Korean people.
    The ideal society which Dong-yeop Shin pursues has two kinds. One is a primitive naturalism, and it sees that modern civilization which was regarded to make the human life to be convenient made the loss of human truth by bring the empty looks and formalities to the humankind and intends to return to the primitive nature. The other one is a society ensuring freedom and equality, i.e. no class society as an independent community in relation with the reality of that time.
    He obtains a philosophical base of ideal society from three aspects. First is an anarchism. The anarchism expressed as ‘no government town’ in his poems is expressed as an ideology containing the feature of ideal life which gains a free liberation of humankind from all authorities and suppressions, ‘work depending on one's capability, and distribute according to its needs’. Second is an ideology to pursue equality of people and independent life based on ‘mankind is god’ of Donghak Thought. Finally, the Lao-Chuang's Thought expressing ‘letting nature be’ becomes a base to pursue a primitive naturalism.
    This thought and the utopian consciousness of Dong-yeop Shin established by its society become a literal achievement to be a corresponding to the reality with consistency in 1960's and to plant a high esthetic ide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