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0년대 시에 나타난 전통 생태의식 연구 - 윤동주와 이육사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ditional Ecological Consciousness in the Poetry of the 1940s - With a focus on the poems by Yun Dong-ju and Lee Yuk-sa)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8.12
40P 미리보기
1940년대 시에 나타난 전통 생태의식 연구 - 윤동주와 이육사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3호 / 363 ~ 402페이지
    · 저자명 : 손민달

    초록

    이 연구는 1940년대 시에 나타난 전통 생태의식을 윤동주와 이육사의 시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이는 전통적 사유체계에 내재되어 있던 생태의식이 어떻게 현대로 이어질 수 있었는지를 증명하고 생태주의 시 연구에서 단절된 근대를 복원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윤동주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유기체적 관계로 설정함으로써 인간중심 사상을 거부했다. 전통적 사유체계에서 자연은 인간에게 道를 전하는 인격체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1940년대 식민지 근대의 문제점을 인식한 윤동주에게 전통사회의 자연의 위치를 복원하고 그 속에서 인간이 함께 온전한 삶을 누릴 것을 강조한 것은 단순히 자연친화적 태도와는 변별된다.
    이육사는 현실세계의 고난을 원형적이고 신화적 세계로서 자연과 대비함으로써 그것을 한층 더 심화시켰다. 이는 현실적 고통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이 과거 회귀와 같은 감정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에 입각한 태도다. 윤동주의 시가 인간과 자연을 동일한 생태계의 구성요소로 파악하고 동질감을 느끼려 하는 것과는 다른 세계 인식의 방법이다. 온전한 상태의 자연과 동질화 되지 못하고 소외된 인간을 그리는 것은 근대의 문제를 목도한 결과다.
    1940년대 대표적 시인인 윤동주와 이육사는 생태계의 동일한 구성요소로 인간과 자연을 바라봄으로써 인간중심주의를 거부하고, 신화적 세계로서 자연이 등장하지만 인간은 그 속에서 소외된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1940년대 시인들이 근대의 문제점을 서서히 인식하고 이를 거부하려는 태도가 나타나고 있었다는 점을 증명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traditional ecological consciousness in the poetry of the 1940s through the poems by Yun Dong-ju and Lee Yuk-sa. The findings will provide some clues to prove how the immanent ecological 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al thinking system was passed down to the modern times and to recover modern times disconnected in the study on the poetry of ecologism.
    First, Yu refused human-oriented ideology by setting nature-man relationships as organic ones. In the traditional thinking system, nature functioned as a personality to deliver morality to man. Recognizing the problems with the colonized nation in the modern times of the 1940s, Yu emphasized restoring the place of nature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leading a whole life as a human in it, which is different from a simple nature-friendly attitude.
    And Lee contrasted an archetypical and mythical world with nature to reinforce the hardship of the real world, which is based on his attitude that the strength to overcome realistic pain is not the matter of emotional dimension such as regression to the past. It's a different way of perceiving the world from Yun that saw man and nature as the equal constituents of ecosystem and tried to identify with nature. Lee depicted humans that failed to identify with nature in a whole and perfect state and were alienated because he witnessed the problems of the modern times.
    Two of the greatest poets in the 1940s, Yun and Lee rejected human-oriented tendencies by dealing with man and nature as the equal elements of ecosystem and presented nature as a mythical world, in which, however, man was alienated. Those findings prove that the poets in the 1940s gradually recognized the problems with the modern times and developed an attitude of rejecting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