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동주 시의 ‘부끄러움’과 ‘보편지향성’ -제도적 형식 앞에서의 시적(詩的) 윤리 (The 'Shame' and 'Universalism-Orientation' of Poems by Yoon, Dong-Ju -The Poetic Ethics in Front of the Institutional Form)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8.10
49P 미리보기
윤동주 시의 ‘부끄러움’과 ‘보편지향성’ -제도적 형식 앞에서의 시적(詩的) 윤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66호 / 205 ~ 253페이지
    · 저자명 : 고명재

    초록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부끄러움’과 ‘보편지향성’은 그가 현실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모색했던 시적 윤리의 구체적 결정(結晶)이다. 특히 그의 시에 나타나는 부끄러움은 기존에 반복적으로 활용되어온 ‘부끄러움–성찰’이라는 평면적인 구조로는 온전히 파악될 수 없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부끄러움은 피해자가 동시대의 피해자들을 보며 느끼게 되는 감정이다. 가해자가 느껴야 할 부끄러움을 오히려 피해자가 고백하는 형국이기에 우리는 관습적으로 이해해온 윤동주 시의 부끄러움을 또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의 시에서 부끄러움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시기가 정확히 전시체제로의 체제 개편이 이루어진 시기(1937년 중일전쟁 이후)와 일치한다는 점은 주목된다.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부끄러움은 국가 권력에 의해 폭압적으로 파괴되는 생명(삶)의 반응적 감정이었다. 이는 단순히 스스로의 결점을 마주하는 개인적 성찰의 개념을 넘어, 파괴되는 생(生) 앞에서 피해자가 느끼는 존재론적 감정이었다. 그는 이러한 감정인 부끄러움을 통해 우리의 ‘삶-생명’이 언어적·형식적 제도에 의해 철저하게 분절되고 파괴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여기서 더 나아가 그는 대문자 제도의 질서와 국가적 형식을 무화시키고자 했다. 바로 그 언어적 대응이 그의 시에 나타나는 보편지향성이다. 윤동주는 끊임없이 생명을 시화(詩化)함으로써, 제도나 언어가 분절하고 해체할 수 없는 생명의 의미를 확보하려 했다. 즉 국가가 언어·합리·측량·기호·법 등의 언어적 제도를 통해 생명을 ‘표준화’ 할 때, 그는 질서와 가치를 무화시키는 생명의 ‘보편화’ 작업으로 체제의 질서에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그의 시에는 감정이라는 비합리적인 영역의 능력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생명을 향한 보편적 사랑이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부끄러움’과 ‘존재적 보편(생명)을 향한 지향성’은 강력한 국가적 폭력 앞에서 주체가 행할 수 있는 언어적·윤리적 대응이었다.

    영어초록

    The 'shame' and 'universalism-orientation' shown in the poems by Yoon, Dong-Ju are the concrete crystal of poetic ethics that he sought for in the direct relation with the reality. Especially, the shame shown in his poems cannot be fully understood in the flat structure of 'shame-introspection' that used to be repetitively used. The shame shown in his poems is the emotion felt by victims when seeing the victims of the same age. As the shame that should be felt by assailants is confessed by victims, it would be necessary to approach the shame in the poems by Yoon, Dong-Ju that used to be understood conventionally, in the different perspective.
    Under this contex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eriod when the shame was fully shown in his poems accurately accords with the period(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of system reform to the war basis. The shame shown in the poems by Yoon, Dong-Ju was the reactive emotion of life(living) which was forcibly destroyed by the state power. Exceeding the concept of personal introspection simply facing one's own flaws, it was the ontological emotion felt by victims in front of the destroyed life. Through this emotion of shame, he aimed to reveal that our 'living-life' was thoroughly segmentalized and destroyed by the linguistic/formative system.
    Furthermore, he aimed to eliminate the order of capital system and national form. The linguistic action is the universalism- orientation shown in his poems. By continuously treating life poetically, Yoon, Dong-Ju aimed to secure the meanings of life that could not be segmentalized or dismantled by system or language. In other words, when the state 'standardized' the life through the linguistic system such as language/rationality/ measurement/symbol/law, he responded to the order of system with the 'universalization' of life that could eliminate the order and value. In this process, his poems actively use the ability of irrational area such as emotion, and the universal love for life is shown. Under this context, the 'shame' and 'ontological universalism(life)-orientation' shown in the poems by Yoon, Dong-Ju were the linguistic/ethical action that could be performed by a subject in front of strong national viol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