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공간과 게송문학 (The Spacetime and Ge-Song(偈頌; Buddhist Hymn, Gāthā)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03
49P 미리보기
시공간과 게송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60호 / 217 ~ 265페이지
    · 저자명 : 서강선

    초록

    偈頌은 고대인도의 시가문학이다. 중국에 전래되어 번역되면서 중국의 전통시가인 『詩經』과 결합되어 중국시가의 모습으로 재탄생하였다.
    게송은 처음에 번역되는 대상에서 후에는 창작의 대상으로 바뀌었다. 그 후 중국에서는 승려 개개인에 의해 많은 게송이 창작되어진다. 그러나 형식은 외형상 漢詩의 모습을 갖추고 있지만 한시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다.
    게송은 시대적 공간의 변화에 의해 선종이 주를 이루는 시대에 와서는 마침 근체시가 정착하면서 이에 영향을 받아 외형상 근체시의 형태를 띠다가 후에는 용운법과 성조를 지키면서 근체시의 격식을 갖춘 한시의 형식을 갖춘 게송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한시로 번역된 게송은 외형상 한시와 별다른 차이가 없으나 押韻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 禪宗에서 도를 깨우친 경지를 표현하기 위한 게송은 禪偈라고 했다. 이 게송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짓는 사람의 자유로운 상상력에 따라 창작되었다. 그러므로 이 게송은 개인의 창작 요소가 풍부하게 들어간 문학작품으로 볼 수 있다.
    게송은 한시에 능한 시승들이 평측과 압운을 지키며 지은 작품이 있었고, 평측과 압운을 무시한 작품도 있었다. 특기할 만 한 것은 외형상 시의 형식을 갖추고, 시제를 부여한 작품에서도 용운법에 어긋나는 것이 있었다. 게송으로 題를 하였어도 게송이 아닌 한시의 형식에 맞게 용운법과 평측이 조화를 이루는 것도 있다. 이는 승려들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창작하였던 그들의 자유로움을 볼 수 있는 단면이기도 하다.
    게송은 다시 한국으로 전해져 한국에서만 보이는 “略纂偈”라는 독특한 게송을 창작하지만 전반적으로 중국의 상황과 별반 차이가 없다.
    현대에 이르러서 한국에서는 아직도 게송이 창작되어지고 있다. 특이한 점은 한글로도 게송이 창작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에서 창작되는 게송의 특징은 한시와 습합되면서 발전 변화하던 양성에서 벗어나 한시와 게송의 구분이 모호하였던 것을 허물어 버린 점이다. 이로서 한시와 게송이 혼용되던 형식을 마감하고 한시와 게송이 명확해지게 되었다.
    특수한 경우이지만 현대한국의 게송은 국한문체로 지어지기도 하고, 한글로 지어진 게송이 등장하는 파격적인 면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는 시대적·공간적으로 현대에 부합된 한국이라는 지역적 공간에서 발생한 일면이다. 이 또한 게송으로 분류해야 할지 논의가 필요하다.
    문학이란 지역적 공간을 이동하면서 변화발전하고, 적응하면서 변질되기도 한다. 이것은 공간과 문학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어 창작의 요소와 형식이 변화하고, 작자에게는 새로운 형태의 문학을 창작하는 동기가 된다. 이러한 점은 비단 게송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닐 것이다.

    영어초록

    Gāthā is a poetry literature of ancient India . Is coupled is handed down in China, translated, and poetry "Sigyeng" traditional China, was re- born in the form of China Chinese poetry.
    After the target Gāthā, translated, it has changed the subject of creation. Then, in China, it will be created a lot of Gāthā individual. However, the mold is provided with a figure of poem in the classic Chinese style, but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poem of classic Chinese.
    The unique transmitted to Korea again Gāthā, that “summary Gāthā of Buddhist scriptures” visible only in Korea.
    You created the Gāthā but, overall, ther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situation in China.
    It led to modern, Gāthā is creative yet in Korea. Oddity is that Gāthā has been created in Hangul.
    In the literature, it is altered while adaptation while moving the local space, change, and development. This literature space and affect each other is a close relationship to each other, form the elements of creation is changed, the author, will be incentive to the creation of a new literary form. It would not be a phenomenon Despite the advantages appear only Gāthā.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