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靑春』 소재 한시 연구 (A Study of Classical Chinese Poetry in Ch'ŏngch'u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7.10
34P 미리보기
『靑春』 소재 한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시연구 / 25호 / 319 ~ 352페이지
    · 저자명 : 정기인, 채송화

    초록

    이 논문은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연구가 공통적으로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靑春』 소재 한시의 특성과 그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20세기에 ‘근대시’를 추구했던 인물들이 기존 한문맥의 전고를 활용하면서도, 근대적 문물을 묘사하고자 했으며, 당대 현실을 비판하기 위한 유용한 매개로서 한시를 활용했음을 논의했다. 즉, ‘근대시’란 무엇인가를 묻기 위해서는 근대에 쓰인 국문시, 한시, 그리고 이들이 상호작용을 하고 있었던 맥락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중층성을 온전히 드러낼 때만이, ‘서구적 근대성’을 잣대로 이에서 벗어나는 것은 주목하지 않거나, 언어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조선어만을 강조하는 편향된 시각으로 한국 근대시사를 왜곡하는 것을 지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이 글은 『청춘』 소재 한시가 최남선이 썼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논의했다. 우선 『청춘』에서 저자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작품은 최남선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최남선이 한시를 짓고 싶은 열망을 고백하고 『少年』에 한시를 게재한 바 있으며, 백두산과 단군을 연결하며 찬양하는 것, 신문관이나 조선광문회와 같이 자신이 주재했던 단체와 관련된 한시를 지은 것, 그리고 최남선이 지은 산문들과 발상과 표현을 같이 하는 한시들은, 『청춘』 소재 한시가 최남선의 작품임을 방증한다.
    『청춘』 소재 한시들은 거의 모든 시가 한문맥의 전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전고는 선인들과 공명하면서 시의 의미를 풍성하게 하고 독자들의 공감 폭을 확장했던 기법이다. 이렇게 전고로 포착되는 시상을 한시로 썼다는 것은 한시적 감수성을 드러낸다. 이에 그치지 않고, 당대의 새로운 근대적 문물을 한시로 포착하려는 노력도 보인다. 이는 한시가 박제된 전통이 아니라 당대 현실을 포착할 수 있는 매체라고 인식했기 때문이다. 또, 엄혹한 검열 환경 속에서 당대 현실을 동물을 소재로 한 한시를 통해 우회적으로 비판한다. 특히 『청춘』의 국문시와 비교해봤을 때 이러한 한시들의 우회적 비판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한시라는 형식이 검열을 피하기 적절하게, 더 함축적이고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문학사는 한문 문학과 국문 문학의 상호교섭으로 이루어졌고, 근대라는 시기도 예외는 아니다. 이 글이 『청춘』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밝힌 것처럼, 한시는 분명 나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고, ‘근대’의 선구적인 시인인 최남선은 그 역할을 적절하게 활용하며 ‘근대문학’을 이루어나갔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of Ch'ŏngch'un(靑春), in which classical literary and modern literary studies were not interested in common. Through this, it was discussed that poets who pursued 'modern poetry' in the 20th century while using an authentic precedent(典故) of context in Classical Chinese letters(漢文脈) tried to portray the modern artifacts and to criticize the contemporary reality while using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as a medium. In other words, in order to ask what is 'modern poetr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Korean poetry, Classical Chinese poetry, and the context in which they interacted. Only when it reveals such multilayer, we can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without distorting the Korean poetry with a biased view of emphasizing only vernacular Korean language or standards of 'Western modernity'.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discussed the possibility that Chʻoe Nam-sŏn is the author of Classical Chineses poetry in Ch'ŏngch'un. First of all, all the articles in Ch'ŏngch'un without author’s name can be assumed to be Chʻoe Nam-sŏn’s. In addition, Chʻoe Nam-sŏn has confessed his desire to write a Classical Chinese poetry, and published a Classical Chinese poetry in Sonyŏn(少年). Also praise of Paektusan(白頭山) and Tanʾgun(檀君), poetry about groups he had participated(新文館, 朝鮮廣文會), and the poetry which shares the ideas and expressions with the prose written by Chʻoe Nam-sŏn confirms that the Classical Chinese poetries of Ch'ŏngch'un are the works of Chʻoe Nam-sŏn.
    Classical Chinese poetries of Ch'ŏngch'un actively utilized authentic precedents of context in Classical Chinese letters. It is a technique that enriches the meaning of poetry and enlarges the sympathy of readers by resonating with the past poets. The fact that the idea of poetry which was captured by authentic precedents implies Classical Chinese poetry sensibility. In addition to this, efforts are also being made to capture the new modern artifacts of the time. This is because Classical Chinese poetry was not a stuffed tradition but a medium to capture the reality of the time. Also severe censorship was bypassed through figurative Classical Chinese poetry using animals to criticise contemporary reality. Especially, when compared with the Korean poetry of Ch'ŏngch'un, the Classical Chinese poetry’s criticism is remarkable. This criticism of Classical Chinese poetry was possible because it is more implicit and difficul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consists of mutual negotiation between Chinese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and the period of modernity was no exception. As this paper reveals through the study of Ch'ŏngch'un, Classical Chinese poetry certainly played its role, and Chʻoe Nam-sŏn, a pioneer poet of 'modernity', made use of its role to make 'moder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후